환경부, 74만t 중 71만t 완료재난폐기물 체계 선제 구축지난 3월 울산·경북·경남 지역 산불로 발생한 재난폐기물 중 95.6%가 처리된 것으로 집계됐다.환경부는 올해 초 산불로 발생한 재난폐기물 74만3000t 중 71만1000t을 처리했다고 1일 밝혔다.전소 또는 반소된 주택 등 주민 생활·생계시설의 철거 과정에서 발생한 재난폐기물의 96%가, 산불 피해를 입은 공장 65개사에서 발생한 폐기물의 88.1%가 처리됐다.지역별로 살펴보면 울산 울주군과 경남 하동군·산청군의 처리율은 100%에 달했다. 경북(안동시·영덕군·영양군·의성군·청송군) 지역의 경우 약 95%의 처리율을 기록했다.아직 철거되지 않은 산불 피해 주택과 소규모 공장에서 발생한 잔여 재난폐기물 약 3만t도 철거가 완료되는 대로 처리될 계획이다.한편, 환경부는 장마와 태풍 등 풍수해로 인한 수해 재난폐기물 발생 상황에도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있다.환경부는 수해 복구대응 초기 단계에서부터 재난폐기물 발생량 조사를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수해 재난폐기물 산정 및 관리 지침서`를 마련하고, 전국 지자체와 재난 관련 기관에 배포했다.전국 지자체는 각종 수해 재난폐기물을 신속하게 배출해 임시로 모아둘 수 있도록 총 1300곳의 예비 부지도 확보했다.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이번 산불 피해지역의 신속한 일상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해 재난폐기물 관리와 처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여름철 수해 폐기물에 대해서도 처리 지연 및 2차 환경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김성용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