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의원들이 2일 한국사교과서 편향 논란과 관련, 정부와 여당의 국정교과서 체제 전환 의도를 의심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올바른 역사교육과 교학사 교과서 문제 해결을 위한 원로 역사학자 초청 간담회`에 참석해 "박근혜 대통령은 부실불량인 교학사 역사교과서의 검정을 취소하고 국정교과서로 획일화·일원화하려는 시도를 중단할 것을 국민과 원로 사학자들의 의지를 모아서 요구한다"고 말했다.
국회 국회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인 같은당 정세균 의원도 "우리가 보기에 결국은 교학사 교과서를 국정교과서화하는 것이 그들의 목표가 아닌가 판단한다"며 "우리 미래세대와 역사교육을 위해서는 결코 이대로 좌시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교문위원장인 같은당 신학용 의원도 "이를 계기로 해서 (정부와 여당이)대대적으로 공세를 펼 것 같은데 앞으로 단단히 준비를 해가지고 하루아침에 (국정교과서 체제로)돌리려는 시도를 깨부수는 데 차근차근 대항해 나가야 하겠다"고 말했다.
서경대 이이화 교수도 "국사교육을 국정교과서로 하자는 논의도 자꾸 일어나고 있는데 이는 교과서 문제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여러 관계 속에서 진행될 것같다"며 "어떻게 막아야 할지 그 문제도 고민을 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 역사학계 원로들은 새 한국사교과서 간행을 1년 정도 유예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숙명여대 이만열 교수는 이날 간담회에서 "이 문제들이 제대로 해결 혹은 공론화되지 않는다면 지극히 사견이지만 새 교과서 발행 문제를 역사학계에 맡기는 조건으로 몇년 유예하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했고 조광 전 고려대 교수도 "(간행을 1년 유예한다면)교학사 교과서 문제를 통해 역사 교육의 문제점 근본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성대 윤경로 명예교수도 "1년 만이라도 중립적 입장에서 교과서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집필위나 심사위를 구성해 타협·절충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