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FIFA U-20 월드컵` 유치를 위한 막바지 작업이 한창이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는 `2017 FIFA U-20 월드컵대회` 유치를 위해 5일 브라질 살바도르에서 개최되는 국제축구연맹(FIFA) 집행위원회에 김종 제2차관을 단장으로 한 정부대표단을 2일 파견했다고 밝혔다.
2017 FIFA U-20 월드컵 유치를 희망한 나라는 우리나라 외에 멕시코, 영국, 프랑스, 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 등 12개국이다. 오는 5일 브라질에서 열리는 FIFA 집행위원회에서 개최국이 선정될 예정이다.
정부대표단은 대한축구협회 및 재외공관과의 유기적 협조를 통해 FIFA 관계자 및 집행위원 면담 등을 추진한다.
FIFA U-20 월드컵은 20세 이하 선수들로 구성된 24개국 대표팀이 참가하는 대회로 월드컵, 17세 이하 월드컵, 컨페더레이션스컵과 함께 FIFA가 주최하는 4대 축구 대회 중 하나이다. FIFA 주관 성인월드컵 다음으로 큰 대회로 전 세계 수십억 명(2006 독일대회 누적 시청자 240억 명) 이상의 축구팬이 시청할 것으로 예상돼 국가 이미지 제고 및 브랜드가치 상승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83년 박종환 사단이 최초의 4강 신화를 달성했으며 올해 터키에서 개최된 U-20대회에서 8강에 진출한 바 있다.
특히 한국이 2017년 U-20 월드컵 대회 유치에 성공하게 되면 2001년 컨페더레이션스컵, 2002년 월드컵, 2007년 U-17 월드컵 등 FIFA 주관 남자대회를 모두 개최하는 `축구 그랜드슬램`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대회 개최로 인해 생산유발 605억7000만원, 부가가치유발 289억원, 고용유발 3937명 등이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U-20 월드컵을 2002년 월드컵 당시의 기존 경기장을 활용하고 별도의 국비없이 FIFA 지원금, 대한축구협회 자체 부담 등을 통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창출하는 국제대회로 운영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