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수학 부분에서 1위를 차지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PISA 2012에서 OECD 34개국 중 수학 1위, 읽기 1~2위, 과학 2~4위를 차지했다고 3일 밝혔다.
PISA는 만 15세 학생들의 수학, 읽기, 과학 소양 수준과 추이를 국제적으로 비교하는 것으로 3년 주기로 시행된다. 주기별로 세 영역 중 주영역을 설정하며 PISA 2012의 주영역은 수학이다.
OECD 34개국, 비회원국 31개국 등 총 65개국 약 51만명을 대상으로 시행됐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총 5201명(고 140개교, 중 16개교)이 참여했다.
◇OECD 중 수학 1위, 읽기 1~2위, 과학 2~4위
우리나라는 OECD 34개국 중 수학 1위, 읽기 1~2위, 과학 2~4위, 전체 65개국 중에서는 수학 3~5위, 읽기 3~5위, 과학 5~8위를 기록했다.
평가원 관계자는 "PISA의 각 영역별 평균 점수는 표본을 통해 얻은 추정치로서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값"이라며 "따라서 점수에 따른 등수를 제공하기 보다는 그 국가가 위치할 수 있는 최고 등수와 최하 등수를 추정해 공개한다"고 설명했다.
수학의 경우 평균 554점으로 OECD 평균 494점에 비해 60점 높았으며 읽기는 536점, 과학은 538점으로 OECD 평균보다 각각 40점, 37점 높았다.
PISA 2009와 비교하면 수학은 546점에서 554점으로 8점 올랐지만 읽기는 539점에서 536점으로 3점 하락했으며 과학은 동일한 538점을 유지했다.
수학에서 두 번째로 높은 평균 점수를 기록한 나라는 일본 536점이었으며 스위스 531점, 네덜란드 523점, 에스토니아 521점, 핀란드 519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읽기는 일본이 평균 53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한국 536점, 핀란드 524점, 아일랜드·캐나다 523점, 폴란드 518점 등의 순이었다.
과학은 일본 547점, 핀란드 545점, 에스토니아 541점, 한국 538점, 폴란드 526점, 캐나다 525점 등으로 집계됐다.
65개 전체 참여국을 보면 수학은 상하이(중국)가 평균 61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싱가포르 573점, 홍콩(중국) 561점, 대만 560점에 이어 우리나라는 554점을 기록, 5번째(3~5위) 자리에 올랐다.
읽기 역시 상하이(중국) 570점, 홍콩(중국) 545점, 싱가포르 542점, 일본 538점에 이어 한국 536점으로 5번째(3~5위)를 기록했다.
과학 또한 상하이(중국)가 평균 58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한국 538점은 7번째(5~8위)에 이름을 올렸다.
◇상하위권 격차 더 벌어져
이번 결과를 토대로 OECD 국가 중 성별 차이를 보면 수학과 과학은 남학생, 읽기는 여학생이 강세를 보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학은 2009 대비 여학생의 성취도는 변화가 없었지만 남학생의 점수가 상승했다. 수학에서의 차이는 18점으로 OECD 평균 11점보다 크게 나타났다.
읽기는 여학생의 점수가 남학생에 비해 23점 높았지만 이는 2009에 비해 12점 줄어든 것으로 OECD 평균 38점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2009 대비 상하위권 성취수준 격차는 더 벌어졌다. 수학은 상위 수준인 5수준 이상 비율이 30.9%로 2009 대비 5.4%p, 최상위 수준인 6수준의 경우 12.1%로 4.3%p 늘어났다. 반면 하위 수준인 2수준 미만의 비율은 9.1%로 1.0%p 증가했다.
읽기 역시 5수준 이상인 학생 비율이 14.2%로 2009 대비 1.3%p 증가했으며 6수준은 0.6%p, 2수준 미만은 7.6%로 1.8%p 늘어났다. 단 과학은 PISA 2009와 2012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평가원 관계자는 "2000년 PISA 시행 이후 하위권이 늘어난 것은 처음"이라며 "PISA는 지식 암기가 아니라 실생활과 연계한 문제해결능력을 요구하는 것이라 이같이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온 것 같다"고 분석했다.
한편 PISA 2012 선택사항인 컴퓨터 기반 소양 평가에는 총 32개국이 참여했으며 한국은 수학 평가(CBAM)에서 3위, 읽기 평가(DRA)에서는 2위를 기록했다.
수학의 경우 1위는 싱가포르 566점, 상하이(중국) 562점에 이어 3위 553점에, 읽기는 싱가포르 567점에 이어 2위 555점에 올랐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