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처음 치러지는 6·4지방선거가 6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여야가 승리를 위한 전략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는 박근혜정부의 중간 평가 성격을 띄는 데다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신당 창당 행보에 따른 야권연대의 재편이 불가피한 만큼 정국 주도권을 놓고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에서는 광역단체장 17명과 기초단체장 226명, 광역의원 761명, 기초의원 2888명, 시·도교육감 17명 등 4000여명을 동시에 선출하는 매머드 선거다. ◇野 `정권 심판론` VS 與 `민생 살리기` 내년 지방선거는 박근혜정부 출범 2년차에 치러지는 선거로 정치적으로 `중간 평가` 성격이 강하다. 선거의 승패에 따라 향후 국정운영의 중심축이 어느 쪽으로 기울지가 결정되는 셈이다.새누리당이 무난하게 승리할 경우 중앙은 물론 지방 권력까지 장악해 집권 중반기를 안정감 있게 이끌 수 있지만 야권이 이길 경우 `조기 레임덕`이 우려된다. 정권 초기 지난 대선 당시 국가기관의 선거 개입 의혹 등으로 대선 공약과 정책 추진에 제동이 걸린 만큼 정부·여당으로선 주도권 찾기가 절실하다. 이에 새누리당은 야권을 향해 민생은 뒤로 한 채 정쟁에 골몰하고 있다는 공세를 강화하면서 민생과 경제 살리기, 일자리 창출 문제를 집중 부각할 방침이다. 반면 민주당은 박근혜정부 `심판론`을 전면에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집권 초기 인사는 물론 각종 정책 등에서 박 대통령의 일방적 국정 운영에 불만을 느껴왔던 민주당은 불통과 무능을 집중 부각하면서 견제론 확산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비록 국회에서는 여권이 다수를 점하고 있지만 지방권력 재편을 통해 야권의 주도권을 확보할 경우 2017년 정권 재창출을 위한 기반 확보에도 유리하다는 포석이다. 반면 대선과 총선은 물론 지방선거까지 잇따라 참패할 경우 야권의 지지기반이 더욱 약화되면서 세포 분열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안철수 신당, 양당체제 질서 변하나? 내년 지방선거에서는 안철수 신당의 출현 여부에 따라 새누리당과 민주당이 양분해 온 정치 구도에 변화를 줄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안철수 신당의 등장은 당장 사실상의 양당체제를 허물고 다당제로의 재편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안 의원은 최근 독자 세력화를 위한 `국민과 함께하는 새 정치 추진위원회` 출범을 밝히면서 "지방선거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책임 있게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안 의원이 줄기차게 말해왔던 `새 정치`를 전면에 내세워 정치 지형의 변화와 함께 핵심세력으로 부상하겠다는 의도다. 새누리당은 야권 내 지지층 분산으로 인한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기대감과 함께 신당이 새누리당을 지지하는 중도 지지층을 흡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반면 각종 여론조사에서 안철수 신당은 물론 무당층 지지율에도 못 미치는 민주당은 주요 인사들의 탈당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안철수 신당과의 연대 강화에도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지방선거에서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이 경쟁 관계를 유지하되 야권연대에 힘을 모을 경우 박근혜 정부 심판론이 더욱 부각될 전망이다. 한편 6개월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에서 기초의원·기초자치단체장에 대한 정당공천제도 폐지가 현실화될 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기초공천제를 폐지할 경우 현역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는 반면 안철수 신당의 바람을 약화시킬 수 있는 만큼 안 의원의 창당문제와도 직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민주당은 정치개혁특위를 구성해 기초단위 정당공천 폐지를 논의해야 한다고 적극 나서는 한편 새누리당은 당내 반발 속 미지근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여야가 정국 정상화를 위해 정치개혁특위 설치를 논의하고 있는 가운데 6개월 내에 법 개정까지 완료될 수 있을 지도 관건이다. 뉴시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