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간소음 문제로 국민 10명 중 9명이 스트레스를 받은 적이 있으며 절반가량이 이웃과 다툰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110정부민원안내콜센터는 지난달 7~22일까지 국민 3040명을 대상으로 블로그와 페이스북을 통해 실시한 층간소음 설문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3일 밝혔다.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8%가 층간소음으로 스트레스를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54%는 층간소음으로 이웃과 다툰 경험이 있었는데, 말싸움(44%), 보복(7%), 몸싸움(3%) 순으로 나타났다. 거주 형태별로는 아파트 거주자의 93%가 층간소음으로 스트레스를 받았고, 오피스텔 거주자의 91%, 연립·빌라 거주자의 88%, 기타 거주자의 82%, 단독주택 거주자의 52%가 층간 소음으로 스트레스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응답자들은 층간소음 스트레스 발생원인(중복응답)으로 아이들의 뛰는 소음(36%), 가전제품 등 사용 소음(18%), 어른이 걷는 걸음(16%), 악기연주(9%), 문 여닫는 소음(9%) 등을 지적했다.층간소음이 발생했을 때 응답자들의 46%는 `층간소음을 참는다`고 답했고, 방문 후에 부탁을 하거나(25%), 경비실에 알리기(19%), 방문 후 항의(7%)가 뒤를 이었다. 경찰이나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에 신고하는 비율은 1% 미만으로 나타났다.응답자들은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주택 층간소음 방지기준 강화(40%), 생활예절 홍보강화(20%), 공동주택 자율규정 마련(13%), 벌금·과태료 등 처벌 강화(10%), 층간소음 예방교육(9%), 화해조정 서비스 강화(8%)가 필요하다고 답했다.권익위 관계자는 "사회적 이슈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국민의 생생한 목소리가 신속하게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