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뉴시스]박광일 기자 = 최근 대구시 자치구·군선거구획정위원회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초 11곳을 두기로 했던 4인 선거구를 모두 2인 선거구로 나누기로 한 것과 관련 시민단체와 야당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시민단체와 야당은 대구시가 선거구 획정 과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제출된 선거구 획정안을 반려하고 재심의할 것을 촉구했다.4일 대구시에 따르면 공직선거법상 자치구·시·군의원 지역 선거구 획정안 제출 마감일인 이날 대구시 자치구·군선거구획정위원회가 최종 선거구 획정안을 김범일 대구시장에게 제출했다.앞서 위원회는 지난달 29일 열린 제3차 회의에서 당초 4인 선거구 11곳을 두기로 했던 잠정 합의안을 뒤집고 4인 선거구를 모두 2인 선거구로 나누는 내용의 선거구 획정안을 확정했다.이날 회의에는 재적인원 11명 중 9명이 참석한 가운데 시민단체 측 위원 1명을 제외한 나머지 위원 8명이 이 같은 내용으로 선거구 획정안 잠정 합의안을 변경하는 데 동의했다.위원회는 이보다 앞선 지난 10월22일 열린 제2차 회의에서 4인 선거구 11곳, 3인 선거구 15곳, 2인 선거구 6곳을 비롯해 32개 선거구를 두기로 잠정 결정한 바 있다. 당시 찬성은 6표, 반대는 4표였다.이처럼 제2차 회의에서 4인 선거구를 11곳 두기로 했던 결정이 불과 한 달 만에 갑자기 뒤집어진 것이다.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와 민주당·통합진보당·정의당·노동당 대구시당은 이날 오전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은 배경에 대구시가 노골적으로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고 주장했다.이들 단체는 "대구시 공무원들이 4인 선거구를 2인 선거구로 쪼개는 내용의 계획안을 갖고 각 위원을 찾아가 협조를 부탁한 사실이 확인됐다"며 "이는 명백한 직권남용"이라고 지적했다.이어 "관련 법에 따르면 집행부는 간사 1명을 파견해 단순 사무만 처리하게 돼 있다"며 "대구시 공무원들이 각 위원과 접촉해 특정 결론을 유도했다면 이는 직무의 권한을 넘어선 것"이라고 강조했다.그러면서 "대구시는 제출된 선거구 획정안을 반려하고 재심의하라"며 "선거구 획정 과정에 개입한 것에 대해 진상을 조사하고 공개적으로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이에 대해 황종길 대구시 자치행정과장은 "위원들에게 찾아가거나 연락한 것은 맞지만 8개 구·군의 의견을 수렴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다"며 "위원들이 스스로 판단해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현행 공직선거법에는 자치구·시·군의원 선거구 획정안의 경우 선거 6개월 전까지 해당 시·도지사에게 제출하도록 돼 있다. 그 뒤 집행부 검토와 조례 개정을 거쳐 선거구를 최종 확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