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철도노동조합이 수서발 KTX 운영회사 설립에 반대하며 9일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코레일이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비상수송체제에 돌입했다.코레일 노사는 지난 7일 오후 4시부터 코레일 서울사옥에서 최연혜 사장과 김명환 노조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실무협상을 진행 중이다. 특히 쟁점인 임금인상 및 근로복지와 함께 `수서발 KTX 운영회사 설립`과 관련 양측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어 교섭에 난항을 겪고 있다. 코레일은 17조원의 부채 해소를 위해 임금을 동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노조 측은 임금 6.7%인상과 정년 2년 연장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또 핵심쟁점인 수서발 KTX 운영 자회사 설립에 대해서도 노조 측은 외부의 시각으로 보면 이는 `사실상 민영화 수순`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반면, 사측은 수서발 KTX 자회사 설립으로 `민영화 논란은 종식됐으며, 민영화가 아닌 코레일 계열사`라는 입장이다. 아울러 코레일은 수서발 KTX 결정(안)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이해를 구하지 못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 적극적인 설득작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최연혜 코레일 사장은 임직원들에게 보내는 긴급 호소문을 통해 "수서발 KTX는 민영화가 아닌 코레일 계열사로 확정됐음에도 `민영화 시작` `민영화 전단계` 운운하며 파업을 하겠다는 모습을 보면 안타깝기만 하다"며 "민영화가 된다면 내가 선로에 드러누워서라도 민영화를 막아내겠으니 나를 믿고 따라와 달라"고 파업철회를 호소했다.이어 "파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으며 오히려 우리가 지켜내야 될 소중한 철도의 미래를 망칠 뿐"이라면서 "이번 파업은 명백한 불법 파업으로 법과 원칙에 따라 한 치의 흔들림도 없이 엄정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코레일은 노조가 9일 총파일을 예고함에 따라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전 직원 비상근무를 선포하고 비상대책본부를 구성, 비상수송체제에 돌입했다. 아울러 파업이라는 최악의 사태를 막기 위해 마지막까지 대화와 협상을 성실하게 임한다는 계획이다. 또 협상이 결렬돼 파업이 진행될 경우에도, 국민이 안심하고 안전하게 열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상안전대책 및 수송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뉴시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