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장성택 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실각설에 대해 "최룡해 인민국 총정치국장과 권력투쟁 보다는 월권으로 인한 실각으로 안다"고 8일 밝혔다.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인 윤 수석은 이날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국회 정보위원회에서는 (국가정보원 보고를 통해) 장성택 실각이 최룡해와의 권력투쟁이라고 밝혔는데 제가 아는 것은 다르다"고 전제한 뒤 "장성택의 최측근인 이용하 행정부 제1부부장과 장수길 부부장의 이권·외화벌이 사업으로 인한 갈등이 불거진 것"이라고 말했다.윤 수석은 "최룡해는 원래 군 출신이 아니고 최룡해의 권력은 장성택 권력의 반의 반도 안된다"며 "그런데 무슨 권력투쟁이냐. 권력투쟁(이라고 알려진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부연했다.이어 "김정일 사망 후 장성택이 핵심적·정치적 중추역할을 해온 것은 사실이지만 장성택의 월권 징조는 계속 나왔다"며 "장성택이 김정일 시신참배 때 일종의 화이트 라인을 넘어가는 일도 있었다"고 말했다.그러면서 "또 한번은 김정은이 장군들의 영접을 받을 때 장성택이 뒤에서 담배를 꼬나물고 자기가 제2인자인양 장성들의 인사를 받았다"며 "이처럼 장성택이 김정은의 권위에 도전하는 모습이 나왔다"고 했다.윤 수석은 지난해 숙청된 이용호 인민군 총참모장에 대해서는 "이용호도 제가 듣기로는 아예 권총을 차고 김정은 앞에 나타나는가 하면 김정은 허락없이 군대를 이동시키는 등 계속 월권행위가 적발돼 김정은이 친 것"이라고 말했다.윤 수석은 이어 "장성택도 월권적인 태도와 그 측근인 이용하·장수길의 부정비리 적발이 (실각의) 도화선이 됐다"며 "장성택 실각을 통해 김정은의 홀로서기는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윤 수석은 장성택과 그의 부인인 김경희의 관계에 대해서는 "두 사람은 별거 중으로 안다. 별거 중이지만 (김경희가 장성택을) 내치는 것에 대해서 막 반대를 한 게 아니라 무마시키려고 노력한 것으로 안다"며 "그러나 현재 상황에서 김경희가 나설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