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세곳 중 하나`는 올해 초 수립한 경영계획보다 투자 규모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최고 경영자들은 또 내년 경제성장률을 3.2%로 전망하는 등 보수적인 시각을 갖고있어 내년 고용과 투자가 살아날지 가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15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78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최고경영자(CEO) 경제전망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34.1%가 "투자집행 실적이 계획 수준에 못 미쳤다"로 답했다. 올 초 계획 대로 투자를 집행했다는 기업은 52.6%, 계획보다 투자를 늘렸다는 기업은 13.3%였다. 투자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기업들은 `내수침체로 인한 국내 경제여건 악화`(56.6%), `대외 경제환경 악화`(30.3%), `자금조달 애로`(11.8%) 등을 이유로 꼽았다.  내년에도 절반에 가까운 기업들은 투자나 고용을 늘리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CEO들이 예상하는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3.2%로 집계됐다. 이는 한국은행(3.8%), KDI(3.7%) 등 주요 기관들의 전망 수준을 밑도는 수준이다. 응답기업 중 41.3%가 내년 경영계획을 묻는 질문에서 `긴축경영`을 하겠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 51.2%보다 9.9%p 하락한 것으로 3년 연속 긴축경영이 가장 많은 응답을 받았다. 이어 현상유지(37.2%), 확대경영(21.5%)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내년도 투자 및 고용계획은 `금년수준`이라는 응답이 각각 43.7%(투자), 49.3%(고용)으로 가장 많았다.  투자를 줄이겠다는 응답은 31.1%(소폭축소 27.4, 대폭축소 3.7%)였고 고용을 줄이겠다는 응답도 30.6%(소폭축소 24.6%, 대폭축소 6.0%)나 나왔다. CEO들은 내년도 경영의 가장 주된 애로요인으로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인한 `내수부진`(32.5%)를 꼽았다. 이어 `수출여건 악화`(29.3%)에 대한 우려도 컸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수출여건 악화(33.8%)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고, 중소기업은 내수부진(37.3%)을 걱정하는 기업이 많았다. 특히 중소기업은 `인건비 절감`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대기업은 `노사관계`와 `고용유연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경총 관계자는 "대기업 국내 투자 확대를 위해서는 강성노조, 고용경직성의 문제 해소가 필요한 과제임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CEO들이 가장 우려하는 노동시장 현안은 `근로시간 단축`(44.2%)으로 나타났으며 응답기업 중 52.6%는 정부의 세무조사 강화로 행정적인 부담이 커졌다고 우려를 드러냈다. 뉴시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