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터넷 이용자수가 10년 만에 1000만명이 늘어 4000만명을 돌파해 이용률 82.1%를 기록했다. 인터넷 서비스 분야에서도 PC에서 모바일 중심으로 플랫폼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올해 7월 1일부터 3개월간 전국 3만 가구와 가구원 7만7402명을 대상으로 `2013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4008만 명으로 2003년 2922만명을 기록한지 10년 만에 약 1000만 명이 늘었다. 이용률은 65.5%에서 82.1%로 증가했다.
지난해와 비교해서 40대의 인터넷이용률은 89.6%에서 96.8%로 7.2% 포인트 상승했다. 50대 역시 60.1%에서 80.3%로 20.2% 포인트나 상승하면서 중장년층의 인터넷이용이 상승세를 보였다.
최근 2년간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된 결과로 스마트폰을 보유한 가구의 비율은 지난해 65.0%보다 14.7% 포인트 높아진 79.7%를 기록했다. 2011년 42.5% 보다는 두 배 가까이 성장하였다.
스마트폰 사용이 늘어나면서 2012년 대비 가구 인터넷 접속률은 97.4%에서 98.1%로 증가 했지만, 유선인터넷 접속률은 오히려 지난해 82.1%에서 79.8%로 낮아졌다. 장소에 구분없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비율은 58.3%에서 91.0%로 대폭 높아졌다.
스마트폰과 모바일 인터넷의 성장은 관련 산업과 서비스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교해 스마트 모바일 기기 보유율은 63.7%에서 71.6%로 상승한 반면 가구 컴퓨터 보유율은 2005년 이후 처음으로 82.3%에서 80.6%로 하락했다.
인터넷 서비스 분야에서도 플랫폼 주도권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이메일 사용은 감소하고 모바일 중심의 카카오톡, 라인 등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은 60.1%에서 82.7%로 크게 늘었다. 인터넷뱅킹 이용자 중 모바일뱅킹 이용비율은 29.2%에서 65.4%로, 인터넷쇼핑 이용자 중 모바일쇼핑 이용비율은 23.8%에서 43.2%로 크게 증가했다.
조사결과는 미래부 홈페이지(www.msip.go.kr)와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통계정보시스템(isis.kisa.or.kr)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한편 인터넷이용실태조사는 1999년에 시작돼 2003년에 정부승인통계로 지정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우리나라의 인터넷 관련 공식 통계로 제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