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민들에게 신뢰와 사랑을 받을 수 있는 지방공기업이 되도록 획기적인 혁신방안을 마련하세요.”
김범일<사진> 대구시장이 17일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공기업 혁신을 강력히 주문했다.
김 시장은 이날 2014년도 주요 시정 목표로 대구 미래 먹을거리의 가시화와 현실화, 미진한 부분 해결, 일자리 창출, 공기업 혁신 등 네가지를 꼽았다.
김 시장은 특히 공기업 혁신에 대해서 목소리를 높였다.
“공기업 혁신은 중요한 과제로 부채 등을 시민들이 안심할 수준까지 끌어내려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경영혁신, 경영성과급 제도 개선, 인사 등 혁신적인 개선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시장은 “공기업 인사문제는 시장 임기 8년 동안 단 한 사람도 선거캠프, 친인척, 정치권 등 누구 부탁 받고 임명한 적이 없다. 또 외부 유명 인사가 신청했는데 내부 직원을 채용한 적도 한번도 없다”며 “공기업 추천천위원회를 구성해 대부분 공개모집으로 인사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현재 한 군데 공기업의 이사장을 공개 모집하고 있는 데 한 사람만 신청해 아직 채용을 안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고 공기업이 시민들로부터 사랑받을 수 있는 인사를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산하 공사·공단에게 지방공기업 획기적 경영개선대책 방향을 제시하고, 지방공기업별 강도 높은 자체 쇄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구시의 지방공기업 획기적 경영개선대책은 성과중심 경영추진에 맞춰진다.
이를 위해 수익성 높은 신규사업 적극 발굴 추진하고 조직 진단을 통한 인력감축, 경상비 절감, 재고자산 적극 관리, 업무개선을 통한 경비절감 등 흑자경영을 유도할 방침이다.
또 경영성과가 낮은 CEO중 2년 연속 `라`등급 이하를 받거나, 평가등급이 전년 대비 3단계 이상 하락한 경우 해임토록 할 계획이다.
특히 임직원의 공금횡령 유용 시 즉시 직무배제는 물론 5배 이하의 징계 부가금을 부과한다.
부채는 전국 16개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중 가장 양호하지만 부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앞으로 공사·공단에선 부채를 반드시 200%이하로 유지·관리할 방침이다.
공사채 발행 승인 한도액도 현행 400%에서 앞으로는 200%로 대폭 축소토록 하고, 불요불급한 공사채 발행은 가급적 억제하는 등 채권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사내 복지제도를 점검해서 불합리하고 과도한 지급규정에 대해선 과감하게 개선할 방침할 계획이다.
채무보증행위 제한을 위해 공사의 민간 사업자에 대한 미분양 자산매입 금지는 물론 차입자금 상환 보증금과 토지리턴제를 통한 토지매각 등은 금지토록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직영기업(상하수도)의 경우 적자해소를 위해 상하수도 사업의 부채관리, 원가절감, 요금적정화, 중장기 경영목표, 재무전망 및 관리계획, 경영수지 예측·대책 등 5개년 중장기 경영관리계획 수립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김 시장은 “내년에는 대구의 미래 먹거리인 국가산업단지, 첨단의료복합단지, 테크노폴리스, 노후 공단 재생, 신공항, 로봇산업 R&D 프로젝트 등이 가속화 현실화될 수 있도록 기업과 연구소 유치에 전 공직자가 매진해 줄 것”을 주문했다.
또 “올해 해결하지 못한 취수원, 동물원 이전 문제 등 미진한 부분들이 내년에는 반드시 해결되는 한해가 되도록 업무 계획에 반영하는 등 철저히 준비할 것”을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