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축구연맹은 K리그 클래식(1부 리그)과 챌린지(2부 리그) 22개 구단에 ▲K리그 유소년 축구 보급반 운영 매뉴얼 ▲사회공헌&지역커뮤니티 프로그램 매뉴얼 ▲프로야구 마케팅 활동 사례 벤치마킹 보고서 등을 각각 배포했다고 16일 전했다.연맹이 배포한 `K리그 유소년 축구 보급반 운영 매뉴얼`에는 ▲ K리그 클래식과 챌린지 구단의 유소년 저변 확대 현황 진단 ▲유소년 저변 확대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현장 의견 수렴 ▲ 서비스 마케팅 관점의 유소년 저변 확대 프로그램 분석과 함께 국내외 유소년 저변확대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사업의 구성 요소와 세부 사업 추진 방법 등이 담겨 있다. 지역민에게 사랑받는 K리그를 만들기 위해 `사회공헌&지역 커뮤니티 활동 매뉴얼`도 전달했다. 매뉴얼에는 ▲국내외 해외기업 사회공헌 사례 및 K리그 사회공헌활동의 지향점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EPL) 사회공헌활동 ▲2012년 K리그 사회공헌활동 ▲2013년 사회공헌 리포트 등의 내용이 수록돼 있다. 연맹은 각 구단과 지역민이 상생 파트너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K리그의 사회공헌활동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출범 30주년을 맞은 K리그는 지난 6월 `2022년 글로벌 톱10 리그 진입`과 `아시아 No.1 리그`를 지향하는 새로운 비전 `BEYOND 11(비욘드 일레븐)`을 선포했다.이와 관련해 ▲최고의 경기력으로 승강제 정착(Best in Class) ▲탁월한 서비스(Excellent Service) ▲한국형 유소년 시스템 운영(Youth Club System)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감(Obligation to Community) ▲신규 비즈니스를 통한 구단 자생력 강화(New Business) ▲프로스포츠 전문 인력 양성(Development Specialist) 등 6개 과제를 설정해 각 구단에 세부 프로그램 및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연맹은 앞으로 ▲J리그 벤치마킹 리포트 ▲부정방지 백서 및 교육자료 ▲외국인 선수 관리 매뉴얼 등을 추가로 발간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