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고 있는 철도 파업과 관련해 `혈세로 철밥통 지키기`, `국민불편 담보로 한 불법파업`이라며 연일 맹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특히 민영화 반대 장외집회에서 대통령 사퇴와 하야를 외치는 팻말이 등장한 것을 두고 `정치파업`으로 규정해 대응수위를 높이는 모양새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17일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관계 장관들에 이어 어제 박근혜 대통령도 `민영화와 전혀 상관없다`고 수차례 강조했다"면서 "그럼에도 코레일 노조는 민영화 수순이라고 억지주장을 하면서 국민 불편과 국가 경제적 손실 초래하는 불법 파업 투쟁을 9일째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 원내대표는 "철도노조는 눈과 귀를 모두 막은 채 자기들이 믿고 싶은 것만 믿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 상태에 빠져 진실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민영화 반대 명분의 장외집회에서 대통령 사퇴와 하야를 외치는 팻말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철도노조 파업이 정치파업으로 변질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비판했다.
최 원내대표는 또 "근거 없는 `민영화 프레임`을 만들어 국민을 호도하는 것은 자신들의 철밥통을 지키겠다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면서 "철도노조는 명분 없는 파업을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기현 정책위의장도 "오늘로 철도 파업이 9일째다. 역대 최장기 철도 파업으로 돌입하고, 불법 파업으로 인해 고장과 탈선 등 우려했던 상황이 현실화되고 있다"며 "철도노조는 국민 재산으로 국민의 발목을 잡는 철밥통, 기득권 지키기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철도 파업으로 인한 여객 운행 차질도 문제이지만 산업계 여파가 심각해지고 있다"며 "시멘트 재고가 바닥나서 건설업계에 직격탄이 되고 있다. 대통령도 어제 민영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는데 무슨 명분으로 민영화라고 억지 주장하는지 참으로 답답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철도 파업에 대한 국민 곱지 않은 시선도 커지고 있다"며 "코레일의 부채는 출범 당시 4조5000억원에서 계속된 영업 적자로 인해 14조8000억원으로 급증했고, 자본은 8조8000억에서 3조5000억원으로 급감했다"고 비판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국민 눈으로 봤을 때 혈세로 배부른 철밥통 지키기로 볼 수밖에 없다"며 "코레일은 철도 경영 합리화와 선의의 경쟁을 통해 요금을 인하시키고 서비스 개선이라는 결실을 얻을 수 있다. 민주당도 민영화 저지대회 운운하면서 국민 경제에 직격탄을 주는 불법 파업에 동조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새누리당 국토위 간사인 강석호 의원도 "현재 철도노조 파업으로 피해를 보는 것은 5000만 국민"이라며 "3만명의 기득권 유지를 위해 국민 불편을 담보로 한 파업을 하는 것은 철도 공공성을 스스로 훼손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노조파업의 이유는 민영화 저지가 아니라 독점체제를 유지하겠다는 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며 "그러니 정부가 민영화 포기를 하고, 또다른 안을 내놓았는데도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민영화라고 우기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코레일은 경영권 확보가 됐고, 민간 매각 우려가 제거된 상황에서 철도노조 파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며 "지금이라도 당장 불법 파업을 중단하고 현장에 복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