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18일 가축방역협의회를 갖고 구제역과 AI 완벽 차단방역 시스템 구축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협의회에는 대학교수, 생산자 단체, 가축방역기관장 등이 참석했다. 이에 따르면 동아시아 지역에서 구제역 및 조류인플루엔자(AI)가 다발해 국내 재발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고 농가단위 차단방역 실태에 대한 일제점검이 필요한 시기라고 판단된다. 이에 기존에 추진하고 있는 방역대책을 재점검하고, 구제역·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대비한 완벽한 차단방역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도는 그동안 구제역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재발방지를 위한 특별방역기간을 설정해 `가축방역대책상황실`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매월 `전국 일제 소독의 날`에는 현장 점검을 통한 방역취약지역의 백신 정기접종, 농장 소독실태 등 방역상황을 점검해 왔다.  아울러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지속 발생하고 있는 중국, 동남아시아 지역의 철새가 국내에 이동함에 따라 가금사육농가에 대한 조류인플루엔자 차단방역요령 홍보, 임상예찰, 육용오리와 재래시장 유통 가금류에 대한 혈청검사 등 고강도의 방역대책을 추진 중에 있다. 한편 소 브루셀라병과 돼지 유행성 설사병(PED), 돼지 열병 등은 도·시군 등 관계 기관 합동으로 점검반을 편성해 축산농가와 축산관련시설에 대한 소독 추진실태도 일제 점검하기로 했다. 경북도 최웅 농축산국장(가축방역협의회 위원장)은 "구제역과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등 악성가축전염병뿐만 아니라 돼지열병 및 유행성설사(PED) 등의 질병으로 인한 양축농가의 경제적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외부 유입 가축에 대한 철저한 검사와 농장 출입 차량의 소독 등 차단방역에 힘써줄 것"을 당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