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한국기원이 2013년 바둑계 10대 뉴스를 선정해 17일 발표했다.  국내 바둑계에 큰 충격을 안겨준 `한국 바둑의 18년 만에 무관 전락`과 그래도 위안을 안겨준 `한국, 단체전에서는 세계 최강 입증` 등을 포함해 국내 바둑계의 주요 뉴스들이 포진했다. 또 10대 뉴스로 뽑히지는 않았지만 `바둑진흥법 국회 발의`·`LG배, 한국 16강 전원 탈락 충격`·`1인자 이세돌`·`4관왕에서 무관으로 추락`·`이야마, 8년 만에 일본에 세계대회 우승 선사` 등의 뉴스가 기타 의견으로 다뤄졌다. 다음은 한국기원 선정 바둑계 10대 뉴스(높은 순위부터)다.  1. 한국 바둑의 18년 만에 무관 전락  2013년 마지막 세계대회였던 삼성화재배에서 이세돌(30) 9단이 준우승에 그치며, 한국 바둑은 올해 열린 7차례의 세계대회 개인전에서 무관에 그치는 수모를 당했다.  1988년 세계대회가 창설된 이후 총 121차례 중 68번의 우승(여자대회 제외)을 차지한 한국은 특히 1996년부터 2012년까지 매년 한 차례 이상씩 17년간 이어온 우승 행진에 마침표를 찍었다.  반면 올해 열린 세계대회 개인전에서 중국은 6개 메이저급 세계대회(바이링배·LG배·응씨배·춘란배·몽백합배·삼성화재배)를 거머쥐었고, 일본은 미니 세계기전인 TV바둑아시아선수권 정상에 올랐다. 2. (재)한국기원·(사)대한바둑협회 한지붕 통합 (재)한국기원과 (사)대한바둑협회가 2005년 11월 대한바둑협회를 분리 발족시킨 이후 7년3개월 만에 프로 아마를 총괄하는 통합 체제를 갖추게 됐다. 허동수(70·GS칼텍스 회장) 한국기원 이사장이 지난 1월 대한바둑협회 제3대 회장으로 선출돼 프로와 아마추어를 함께 관장하기 시작했고, 8월에는 대한바둑협회 직원들이 한국기원으로 본거지를 옮기는 동시에 인적 교류를 시행하면서 본격적으로 통합 수순을 밟았다. 허 이사장은 2001년 2월 한국기원 제14대 이사장으로 취임해 현 17대까지 4기 연속 연임 중이다. 3. 국가대표 상비군 창설 상설화  부진에 빠진 한국 바둑의 돌파구 마련을 위해 국가대표 상비군이 상설화됐다. 지난 9월10일부터 본격적인 담금질에 들어간 바둑 상비군은 총감독 이홍열(59)·감독 안조영(34) 9단·코치 박승철(31) 7단으로 코칭스태프를 구성, 랭킹 상위자와 영재 부문 등에서 모두 40명을 선발해 운영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기원은 아시안게임과 실내무도아시안경기 등을 대비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국가대표팀을 운영한 적은 있지만 상설기구로 상비군 제도를 도입한 것은 처음이다.  4. 한국바둑 사상 최초로 장생 출현 한국 프로바둑 60년 역사상 최초로 `장생(長生)`이 나왔다. 지난 6월29일 열린 2013 KB국민은행 바둑리그 5라운드 4경기 최철한(28·SK에너지) 9단과 안성준(22·정관장) 5단과의 바둑에서 국내 처음으로 장생이 출현했다. 장생이란 `끊임없이 같은 모양을 만들어 영원히 산다`는 뜻으로, `어느 한쪽이 양보하지 않는 한 영원히 승부를 낼 수 없는 무한 동형 반복의 형태`를 말한다. 프로 공식대국에서는 1993년 제49기 본인방전 본선 리그에서 린하이펑(林海峰·72) 9단 대 고마쓰 히데키(小松英樹·46) 8단(당시), 2009년 9월 후지쓰배 예선에서 왕밍완(王銘琬·72) 9단 대 우치다 슈헤이(內田修平·24) 2단의 바둑에서 장생이 있었다. 5. 김지석 올레배·GS칼텍스배 우승으로 2관왕 등극 김지석(24) 9단이 입단 후 처음으로 국내 타이틀 두 개를 거머쥐었다. 김 9단은 지난 4월 제18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에서 이세돌 9단을 3-0으로 완파하며 대회 첫 우승과 함께 국내 63번째 입신(入神-9단의 별칭)에 올랐다. 11월에는 2013올레(olleh)배 바둑오픈 챔피언십 결승에서 목진석(33) 9단에게 3-0으로 승리하며 국내 기전 중 최대 규모인 올레배에서 우승했다. 2003년 입단한 김 9단은 2009년 제5기 한국물가정보배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4년 만에 타이틀 보유자 반열에 합류했다.  6. 티브로드, 바둑리그 정규시즌 첫 우승 만년 하위팀이었던 티브로드(감독 이상훈 9단)가 창단 6년 만에 2013 KB국민은행 바둑리그에서 정규시즌 1위의 반란을 일으켰다. 2008년 창단한 티브로드가 정규시즌 1위에 오른 것은 물론, 포스트 시즌 진출도 이번이 처음이다. 창단 첫해 6위로 출발한 티브로드는 2009년 7위(최하위)·2010년 6위·2011년 8위(최하위)에 그치고, 지난해 거둔 5위가 최고 성적일 정도로 약팀의 이미지가 강했다. 그러나 올 시즌 티브로드는 전 경기에 출전한 1지명 조한승(31) 9단이 8승6패, 2지명 이지현(21) 4단이 10승4패로 활약하고, 류수항(23) 3단 등 락스타리거 3명이 12승 6패를 합작하며 팀 창단 첫 우승을 결정지었다 7. 여류 최강 입증한 최정, 여류명인 방어하고 여류기성 획득  여성 기사 최정(17) 4단이 2관왕에 올랐다. 최 4단은 지난 1월 박지연(22) 3단에게 2-1로 승리해 여류명인 2연패에 성공했다. 이어 10월 열린 여류기성전 결승에서 박지은(30) 9단에게 역전승했다. 최 4단은 순수 국내파 여성 기사로는 2004년 조혜연(28) 9단 이후 9년 만에 2관왕에 오른 여자기사가 됐다. 또한 2011년 12월 중국으로 돌아간 루이나이웨이(芮乃偉·50) 9단 이후 춘추전국시대였던 여류바둑계의 판도를 바꿔 놓으며 세대교체의 선두 주자가 됐다. 8. 한국, 단체전에서는 세계 최강 입증  한국 바둑은 개인전에서는 몰락한 반면 세계대회 단체전에서 강세를 이어갔다.  지난 3월 폐막한 제14회 농심신라면배에서 박정환 9단이 막판 2연승해 한국의 11번째 우승을 일궜다. 또 제3회 초상부동산배 한중바둑단체대항전에서는 김지석 9단의 2승 활약에 힘입어 대회 첫 우승을 거머쥐었다. 뒤이어 7월 제4회 인천 실내&무도 아시아경기대회 남자단체전에서도 금메달을 거머쥐었고, 16일 벌어진 2013 스포츠어코드 월드마인드게임즈 남자단체전에서도 개최국 중국을 꺾었다. 이로써 한국 바둑은 올해 열린 4차례 단체전에서 중국팀에 전승을 하며 단체전 불패 신화를 이어갔다. 여자단체전에서도 제3회 황룡사쌍등배와 제2회 화정차업배에서 내리 우승, 중국의 독주를 견제했다. 9. 이세돌 대 구리(古力) 10번기 성사 1983년생 만 30살 동갑내기 이세돌 9단과 중국 구리 9단간 세기의 10번기 성사가 확정됐다. 우승 상금 500만 위안(약 8억7000만원)을 걸고 자존심 대결을 펼치는 두 기사의 10번기는 내년 1월26일 개막해 11월30일까지 중국의 9개 도시와 한국을 돌며 매달 마지막 일요일 한 판씩 펼쳐진다. 태어난 해 뿐만 아니라 입단 연도(1995년)까지 같은 두 기사는 한국과 중국 양국의 바둑계를 대표하는 간판스타다. 통산 세계타이틀 획득 수는 이 9단이 16개, 구 9단이 7개로 이 9단이 구 9단을 압도하고 있다.  10번기는 일본에서 활약했던 중국의 우칭위안(吳淸源·99) 9단이 1939년부터 1956년까지 기타니 미노루(木谷實·1909~1975) 9단, 하시모토 우타로(橋本宇太郞·1907~1994) 9단 등 당대 정상급 일본 기사들과 `치수 고치기` 방식으로 승부를 벌인 것이 유명하다. 당시 10승1무1패의 성적을 올린 우 9단은 거의 모든 기사들의 치수를 선상선(先相先) 또는 정선(定先)으로 고쳐 1인자로 군림했다.  10. 대세는 ‘축제’, 전국 곳곳에서 바둑축제 아마추어 바둑대회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오로지 승부만을 지향하며 최강자 한 명을 뽑는 방식에서 탈피해 축제 형식으로 참가자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대회로 운영방식이 변모하고 있다. 2001년부터 시작한` 청풍명월 바둑축제`는 여름 휴가철을 이용해 충북 제천에서 열리는 대표적인 축제 형식의 대회다. 또 `양주 김삿갓배`(경기 양주)·`울진 금강송배`(경북 울진)·`티브로드배 어린이 바둑대축제`등은 온 가족이 나들이 삼아 즐길 수 있는 대회로 자리매김했다. 일찍부터 미국과 유럽에서는 바둑 콩그레스를 바캉스 시즌에 개최하며 참가자 모두가 성적에 관계없이 바둑 축제를 즐기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