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세대는 메신저와 SNS를 통해 그 어느 때보다 대화를 많이 하지만 학업ㆍ취업ㆍ결혼 문제 등 압박에 시달리며 의례적이고 가벼운 대화에 익숙하다.
코카콜라는 새해를 맞아 10~30대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리서치 업체 `오픈서베이`와 함께 `너의 마음을 보여줘`라는 주제의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18일 밝혔다.
▣가장 기분좋은 한마디 사랑해
그 결과 10대~30대 성인 남녀는 새해 첫날 들었을 때 가장 기분 좋은 한 마디로 `사랑해(12.0%)`보다 `잘 될 거야`(19.0%)를 꼽았다.
새해 첫날 친구에게 꼭 해주고 싶은 한마디도 `잘 될 거야`가 1위였다. 특히 20대는 `잘 될거야`가 19.4%로 1위를 차지해 사회 초년생으로서 서로를 응원하는 마음이 반영됐다.
애인에게 가장 하고 싶은 말로는 `사랑해`(22.0%)가 1위로 꼽혔다. 특히 30대는 24.5%로 `고마워`를 더 높게 선택했고 연령대가 높아질 수록 `고마워`의 비중이 높았다.
이 밖에 `나는 언제나 네 편이야`(10.6%), `난 항상 너를 믿어`(5.8%), `당신이 최고`(5.5%) 등 응원 메시지가 뒤를 이었다.
`내 생각을 직접 말로 표현하기 힘들거나 어색한 순간이 있다면`이라는 질문에 `친구나 가족에게 사랑의 마음을 표현하고 싶을 때`가 28.9%로 나타나 `좋아하는 이성에게 고백할 때(17.1%)`보다 높았다.
남성은 `친구나 가족에게 사랑의 마음을 표현하고 싶을 때`(28%)를 1등으로 꼽은 반면 여성은 `내가 잘못한 일에 대해 친구에게 사과를 해야할 때`(30.1%)를 가장 어색한 순간으로 꼽았다.
`친구들과 소통하기 위해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질문에 75.8%가 메신저나 SNS라 답했으며 직접 대화는 17.1%에 그쳐 직접적 대화보다 온라인과 모바일상 대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는 직접적 대화보다 메신저나 SNS로 이야기 하는 것이 더 좋다`라는 질문에도 `그런 편이다(51.6%)`가 `아닌 편이다(26.0%)`보다 높아 메신저와 SNS를 통한 소통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메신저와 SNS를 통한 대화가 진정한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었나`라는 질문에 전체의 56.8%가 아니오라고 대답했고 그 이유는 `이러한 대화는 의례적인 경우가 많아서`(33.5%)와 `진심을 느낄 수 없어서`(28.7%) 등이 있었다.
20대는 메신저와 SNS를 가장 많이 선호하는 세대임에도 63.6%가 메신저로 인한 대화가 진정한 관계가 형성이 도움이 안 된다고 답했으며 이로 인해 외로움을 느낀다는 비율도 64.1%로 가장 높았다.
코카콜라 관계자는 "의례적이고 가벼운 대화 속에서 현실 속 감정 표현에는 점점 더 서툴러지는 요즘 세대인 것 같다"며 "표현에 서툰 젊은이들이 진실 된 마음을 전하고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그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겠다"라고 말했다.
▣20~30대 직장인 새해 소망 1위 `이직`
우리나라 20~3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새해 소망 1위는 `이직`, 가장 기대되는 이슈는 `브라질 월드컵`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사이버대학교(총장 김지철)는 지난 9~13일, 재학생과 졸업생 등 20~30대 직장인 1014명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조사한 결과 직장인 10명 중 7명이 새해 소망으로 ‘이직’(724명, 71%)을 꼽았다고 19일 밝혔다.
이직에 이어 직장인이 꼽은 새해 소망은 연봉 인상(117명, 12%), 자격증 및 학위 취득(77명, 7%), 승진(59명, 6%), 연애 및 결혼(37명, 4%) 순으로 나타났다.
새해 가장 기대되는 사회적 이슈에 대해서는 52%(531명)가 `브라질 월드컵`을 꼽았다. 다음으로 열린 채용(255명, 26%), 대체휴일제(197명, 19%), 인천아시안게임(28명, 3%), 지방선거(3명, 0.3%) 순으로 답했다.
올해 직장 생활 중 가장 아쉬웠던 점으로는 40%(398명)가 ‘잦은 야근’이라고 응답해 업무 과중에 대한 압박감이 상당히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서 연봉 동결(215명, 21%), 자기계발(201명, 20%), 건강 이상(101명, 10%), 대인관계(99명, 9%)도 아쉬운 점으로 꼽았다.
세종사이버대 유혜정 입학홍보처장은 “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지면서 연봉을 낮춰서라도 안정적인 직종으로 전환하려는 직장인이 늘고 있다” 며 “최근 직장인과 주부 입학생이 선호하는 전공을 보면 창업, 심리, 복지와 같은 전문적인 커리어를 위한 커리큘럼을 선택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