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28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결의했다는 뉴스에 우리 모두는 걱정이 태산같다. 경찰의 민주노총 본부 사무실 강제 진입과 철도노조 탄압에 항의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민주노총은 이와 함께 매일 촛불집회를 열어 대통령 퇴진에 동의하는 시민들과 연대하고 철도노조 3차 상경투쟁 등을 통해 총 역량을 집결할 태세다. 철도 개혁을 하려다 사태가 이처럼 악화돼 안타깝기 그지없다. 개혁의 필요성과 그 방법에 대해서는 대화로 물꼬를 터야 함은 당연하다.  철도 파업이 23일로 보름째를 맞으면서 시멘트와 석탄, 수출입 컨테이너 등 물류 운송에 차질이 빚어져 경제적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철도 파업이 계속되면 연말부터는 KTX의 운행 횟수가 평소의 60% 수준에 그쳐 설을 앞두고 승객 불편이 커질 것은 당연하다. 크고 작은 안전사고도 잇따르고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와 코레일, 철도노조는 모두 서로의 입장만 고집한 채 협상의 자리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으니 답답할 따름이다. 당사자들 모두가 강경 일변도로 나가서는 결코 해답을 찾을 수 없는 것이 파업문제다.  정국을 최종 책임져야 할 정부는 현재 풀어야 할 노동계 현안이 산적해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전교조 및 전공노와 관련된 갈등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 대법원의 통상임금 판결 후속 조치로 임금체계 개편을 논의해야 하는 상황에서 내년 임단협을 앞둔 산업 현장의 혼란도 예상된다. 이런 시기에 노동계를 자극하는 강경 진압은 문제를 더 꼬이게 할 뿐이다. 최소한 노조를 대화의 장으로 나오게 하는 숨통은 만들어야 하지 않겠는가.   이제 모두가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노사는 서로가 적절한 양보안을 마련해 대화의 자리에서 마즈해야 한다. 정부는 원활한 중재를 위해 노력해야 함 또한 마땅하다. 공권력 동원으로 분란을 키워서는 곤란하다. 여야도 철도 파업을 정쟁에 이용하려고만 들지 말고 국가를 진정으로 걱정하는 마음으로 사태 해결에 적극적 나서 할 때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