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23일 경찰의 철도노조 지도부 체포를 위한 정부의 공권력 투입과 관련해 파상공세를 펼쳤다.   민주당은 특히 이번 사태를 박근혜 정부의 불통정치 결정판, 노동탄압 등으로 규정하며 강한 비판을 쏟아냈다. 또 "유신·독재정권의 아바타"라는 표현도 하는 등 박근혜 대통령의 불통과 독선의 이미지를 강조했다. 이성한 경찰청장과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의 사퇴요구는 물론 박근혜 대통령의 배후론도 제기했다.  김한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정부의 민주노총에 대한 사상초유의 공권력 투입은 박근혜 정부가 1년간 보여줬던 불통정치의 결정판"이라며 "어제 사건은 순종하지 않으면 용납하지 않겠다는 박근혜 정부식 찍어내기의 연장선이었다. 강경진압으로 사회적갈등의 불씨에 기름을 부었다"고 밝혔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민주노총에 대한 사상초유의 공권력투입은 종북몰이에 이어 노동탄압의 신호탄이다. 이번사태가 철도민영화의 걸림돌을 제거하기 위한 포석이자 정권의 노동탄압과 독선, 불통강화의 신호탄 아닌지 우려한다"며 "노동탄압과 불통, 독선을 빌미로 삼겠다는 의도가 아니라면 강제진입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최고위원들도 가세하며 정부의 공권력 투입을 맹비난했다.  신경민 최고위원은 "용산참사를 연상케 하는 무리수 작전계획이었다. 경찰이 마음만 먹으면 체포영장만 갖고 전국 아무데나 막아놓고 불쑥 들어가 때려 부수고 아무나 잡아갈 수 있다는 것"이라며 "모든 결정권과 최종 권한은 청와대에 있다.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설국열차를 찍을 생각이 아니라면 더 늦기 전에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양승조 최고위원은 "야당 의원의 입에 재갈을 물리고, 언론에 재갈을 물리고, 노조활동에 재갈을 물리려는 박근혜정권은 완벽한 유신정권의 아바타"라며 "(민주노총에) 공권력 투입은 소통을 원하는 국민에게 폭력적인 방법으로 통치하겠다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우원식 최고위원은 이번 사태를 `작은 계엄령`으로 규정하고 "(경찰은) 압수수색 영장도 기각됐는데 피의자 소재도 확인하지 않고 체포영장만으로 타인의 주거지에 들어가 부수고 불법을 저질렀다"며 "명백한 불법인데도 청와대 눈치만 보고 강경진압으로 일관한 경찰청장과 관련 장관은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박혜자 최고위원도 "경찰 사상 초유의 강제진압으로 철도민영화 반대에서 시작된 투쟁이 정권퇴진 총파업으로 비화되고 있다"며 "국민과의 소통보다는 공권력에 의지해 국민 억압에 바쁜 박근혜정권이 스스로 초래한 결과"라고 꼬집었다. 이용득 최고위원 역시 "박 대통령의 지시 없이는 18년 만에 사상 초유의 민노총 기습점거는 함부로 못한다고 본다"며 "이런 사태는 결국 박근혜정권의 불행을 자초하고 결국 국민의 불행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철도노조원 강제진압 작전은 박 대통령의 불통과 독선이 만든 공안폭거라고 비판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번 공안폭거의 책임자인 유정복 안행부장관과 이성한 경찰청장은 이 사태에 대해서 책임지고 스스로 사퇴해야 한다"며 "무리한 진압작전을 지시하고 직접적으로 수행한 책임이 있는 청와대도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마디로 이번 사건은 박 대통령의 불통과 독선이 빚어낸 불상사의 극치다. 오늘 아침 박 대통령은 `원칙 없이 적당히 타협하면 미래를 기약할 수 없다`라는 발언을 했다고 한다. 어제의 사태에 대해 사과하기는커녕 더 강한 강경대응을 주문하고 지시하는 발언으로 보인다"며 "지금 시점에서 대화보다 더 강한 무기는 없다"고 조언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