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가 방송통신위원회에 제출한 정책제안을 철회했다.   23일 양문석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에 따르면, KBS는 지난 20일 수신료 부과 대상을 기존의 `TV 수상기`에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TV 수신카드를 장착한 수신기기로 확대한다는 내용 등이 담긴 정책제안을 철회했다.  해당 안은 이사회 심의, 의결을 거치지 않고 KBS가 임의로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이 일자 KBS는 "이 건은 이사회 심의의결 대상이 아니다"며 "2018년 이후 수신료 제도의 안정성에 대해서 선진국에서 시행되는 제도를 검토하고 법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중장기적인 과제로 지난해 11월 방통위 정책제안 사항으로 제안한 바 있다"고 해명했다.  양 상임위원은 이날 오전 KBS 본관 시청자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청자를 고려하지 않고 정책제안이라는 미명 하에 수신기기 확대를 이야기했다. 처음에는 넣지 않았다고 하다가 이후 중장기 계획이라고 말을 바꿨다. 그리고 지난 금요일 방통위에 공문을 보내 정책제안을 빼달라고 이야기했다"며 "동네 공기놀이도 아니고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여당 추천 이사 7인이 야당 추천 이사가 불참한 가운데 수신료 인상안을 의결한 것은 "날치기 수준의 강행 통과"로 봤다. "수신료 인상이 KBS 내부 정치의 수단인가. KBS 이사장, 여권 이사들의 자리보존 수단인가. 이들은 KBS를 배신한 자들이자 KBS를 배신할 사람들이다. 이 사람들이 KBS의 전권을 쥐고 있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외부 정치용, 자리 보존용으로 수신료를 자신들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 KBS 뉴스를 자신들의 공격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 그래서 공기를 흉기로 만드는 것, 이 모든 것을 용서할 수 없다"며 "수신료 인상에 대해 진정성을 갖고 다시 논의할 것"을 촉구했다.  함께 자리한 김주언 이규환 조준상 최영묵 이사 등 야당 추천 이사 4인은 "수신료 월 1500원 인상과 광고 연 2100억원 삭감안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의 가계 부담을 가중시키는 역효과를 가져올 게 뻔하다"고 주장했다. "광고 2100억원은 상업방송과 종편 등 유료방송을 국민의 혈세로 지원하기 위한 우회적 꼼수"라며 "시청자를 봉으로 보지 않는 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다.  지난 16일 언론·시청자단체 여성네트워크가 KBS 시청자광장에서 수신료 인상안 무효를 주장하는 과정에서 KBS 관계자들과 마찰을 빚은 것과 관련해서는 "있어서는 안 될 일"이라고 짚었다. "시청자광장은 수신료로 운영하는 KBS가 국민여론을 수렴하기 위한 곳"이라는 이유에서다. 기자회견 과정에서 부상을 입었다는 언론·시청자단체 여성네트워크 추혜선 사무총장 등은 길환영 KBS 사장을 고발키로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