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우<사진> 경북도교육감이 최근 역사 왜곡 논란에 선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를 옹호하는 발언을 해 논란이 일고 있다.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를 채택했던 전국의 학교가 대부분 채택 결정을 철회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와 반대되는 입장을 밝힌 것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는데다 전날 경북 청송군의 사립학교인 청송여고가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를 채택한 사실이 알려진 직후여서 발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영우 경북도교육감은 8일 오전 경북도교육청 2층 회의실에서 열린 신년주요업무발표 기자회견에서 "교과서 선정은 학교의 권한인데 시민단체 등의 압박으로 선정이 번복되는 것은 문제"라고 밝혔다. 이어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는 국정감사 때 국회의원들이 각종 오류를 지적해 수정을 거쳤다"며 "단순히 용어 선택이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는 교사들이 충분히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또 "오히려 선생님들이 수업할 때 교과서에 잘못된 부분에 대해 토론을 붙이면 훨씬 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다른 7종의 검인정 한국사 교과서도 하나하나 짚어가며 확인해보면 분명 잘못된 부분이 나올 것"이라며 "한국사 교과서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서들도 대부분 마찬가지"라고 했다. 그러면서 "잘못된 부분은 수정돼야 하지만 교과서의 다양성은 존중해야 한다"며 "앞으로 우리 교육에서 이런(교과서 선정이 번복되는) 일이 다시는 없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육감은 최근 전국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사회·정치적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는 이른바 `안녕 대자보` 행렬에 동참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반대의 뜻을 밝혔다. 이 교육감은 "학생들이 학교에 게시물을 붙이는 것은 학칙에 의해 학교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며 "이를 어기고 학생들이 대자보를 붙이는 것에 대해 반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학생들의 경우 아직 사리판단 능력이 덜 갖춰진 상태"라며 "이런 상황에서 언론 또는 인터넷에서 대자보를 퍼다가 그대로 붙이는 것을 그냥 두는 것은 교육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치적 물이 어린 학생들에게 배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표현의 자유 이전에 그 속에 든 독을 제거한 정제된 보편타당의 가치가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북교육청은 앞서 지난해 말 각 학교에 공문을 보내 `안녕 대자보`가 면학 분위기를 흐린다며 생활지도를 철저히 할 것을 지시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전교조 경북지부 김자원 대변인은 "교학사 교과서는 무려 1500여 곳을 수정했음에도 아직 곳곳에서 문제점이 발견되는 부실 교과서"라며 "이영우 교육감의 발언은 과연 교과서를 한 번이라도 제대로 읽어봤는지 의심될 정도로 비상식적인 발언"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학생 대자보의 경우 헌법과 UN의 아동권리협약에 어른이든 아이든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게 돼 있다"며 "오히려 학생들이 활발하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교육적으로도 옳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