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단체가 7일 박근혜 대통령의 의료민영화는 `의료비가 폭등하는 반서민적 정책`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보건의료 규제완화 목적은 재벌과 기업주들에게는 새로운 투자처를 제공할 뿐이라고 일축했다.
보건의료단체연합은 이날 논평을 통해 "보건의료는 재벌과 부자들의 돈벌이 투자처가 아니라 공공 사회보장제도"라며 "병원들의 영리자회사는 다른 누구도 아닌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회사"라고 밝혔다.
이어 "의료기관 임대업으로 하는 병원의 자회사는 당장 환자 병실료도 올리고, 고가 의료장비 이용료, 의료용품 등의 가격을 올려 환자들의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보건단체연합은 또 "병원들 간 인수?ㆍ합볍이 허용되면 재벌기업들의 체인병원의 탄생으로 병원 간 담합으로 비급여 의료비를 높여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은 많아진다"며 "게다가 병원노동자 고용 불안과 대규모 구조조정을 불러 온다"고 설명했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 6일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4차 투자활성화 대책으로 병원 영리자회사 허용, 병원 인수합병 허용, 영리법인 약국 허용 등의 방침을 정했다.
보건단체연합은 마지막으로 "의료민영화 정책은 이미 전 정권에 의해 거대한 국민들의 저항에 직면한 바 있다"며 "의료민영화를 위한 규제완화 조치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