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 경북 김천혁신도시로 이전 예정인 교통안전공단에 때아닌 `출산 붐`이 일고 있다.   공단 관계자에 따르면 교통안전공단 본사(경기 시흥)에 근무중인 여직원 45명 가운데 10여명이 지난해 하반기에 출산했거나, 올해 상반기 출산을 앞두고 있다. 교통안전공단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임신한 여직원들이 급속히 늘었다"며 "정확히 파악은 안되지만 대략 10명 정도가 임신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귀띔했다. 공단 직원들 사이에서는 임신 여성 대부분이 맞벌이 부부로, 지방 이전을 할 경우 주말부부가 될 형편이기 때문에 `시기`에 맞춰 계획 임신을 했다는 우스갯소리도 나온다. 현행 근로기준법에 따라 출산휴가(90일)와 육아휴직기간(1년)을 사용하면 이전기관 발령을 1년3개월 가량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저출산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정부에서도 아이 출산을 적극 권장하고 있는 만큼 교통안전공단의 `출산 붐`은 분명 반기고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이들이 동시에 출산휴가나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업무공백이 우려된다. 그렇다고 뾰족한 대안을 찾기도 힘들다. 특히 국토교통부가 지난 6일 내놓은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에서 `2017년까지 산하기관 정원 동결`, `경상경비 10% 이상 절감` 등을 지시해 신규채용도 사실상 힘든 상황이다. 공단 관계자는 "기혼 여성 20%가량(육아휴직 4명·임신 5명)이 비슷한 시기에 임신해 이들이 동시에 출산 휴가를 쓸 경우 업무공백이 우려된다"며 "직원 중 일부는 지방이전 문제로 퇴사할 것으로 예상돼 업무는 더욱 가중될 것 같다"고 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