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적정 하루 수면시간은 7~8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유근영 교수팀에 따르면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한국인 적정 하루 수면시간이 7~8시간인 연구 결과를 대한예방의학회지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993년부터 함안, 충주 등 4개 지역에 거주하는 건강인 1만3164명을 15년 이상 추적해 2010년까지 확인된 1580명의 사망자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건강한 사람의 평소 수면시간이 향후 사망 위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에 참여할 당시 개개인의 생활습관과 위험요인에 따라 사망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했다.  연구팀은 하루 수면시간을 5시간 이하, 6시간, 7시간, 8시간, 9시간, 10시간 이상으로 분류해 각 수면 시간 군에 따라 사망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하루 7~8시간 수면군에서 사망률이 가장 낮았다.  7~8시간에 비해 수면 시간이 짧거나 길수록 사망률은 증가해 수면 시간에 따라 U 자형 위험도를 보였다.  특히 7시간 수면군에 비해 5시간 이하 수면군은 21%, 10시간 이상 수면군은 36% 사망률이 높았다.  유근영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사망위험도를 살펴보았을 때 적정 수면을 취하지 않는 경우 전체 사망 및 질환 별 사망 위험이 모두 증가했다"며 "가장 낮은 사망위험을 보인 하루 7~8 시간의 수면이 한국인 적정 수면시간임을 코호트 연구를 통해 규명했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