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설을 계기로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재개할 것을 北에 제안했다. 통일부는 오는 10일 판문점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논의할 적십자 실무접촉을 갖자는 전통문을 북측에 발송하는 등 후속 조치에 들어갔다.   이산가족의 맺힌 한을 풀어주는 것은 더 이상 미뤄져서는 안될 인도적 과제라고 하겠다.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지난해 11월말 현재 12만 9천255명으로 이 가운데 이미 5만 7천176명이 사망했다. 수많은 이산가족들이 혈육의 얼굴이라도 한번 보기위해 하염없이 차례를 기다리고 있는 기막힌 사연을 아는지 모르는지 안타까울 뿐이다.  남북 관계는 지난 2010년 천안함 폭침과 뒤이은 5·24 제재 조치로 4년 간 긴장과 대결 국면을 이어가고 있다. 국민소득 2만 달러의 늪에서 허덕이며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필요한 우리 현실에서 이 같은 상황은 어느 모로 보나 `비정상`이다.  박 대통령은 이산가족 상봉을 제안하면서 `첫 단추`라는 표현을 썼다. 이산가족 상봉을 계기로 현재 남북 간 현안인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도 본격 논의에 들어가길 바란다. 남북 간 신뢰가 쌓일 경우 박 대통령의 `DMZ 세계평화공원` 건설, `유라시아 철도` 연결 구상도 한층 힘을 받을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한 일이다.  이제 공은 北으로 넘어갔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는 신년사를 통해 `북남 사이 관계 개선을 위한 분위기 마련`을 제안한 바 있다. 우리 정부의 이산가족 상봉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정치적 수사라는 국내외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북한은 남북 판문점 연락관 채널 개시 통화에서도 이산가족 상봉 제의에 대한 특별한 언급을 내놓지 않았다. 우리 정부가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접촉을 10일 갖자는 제의를 했다는 점에서 북한이 어떤 식으로든 입장을 낼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통일부 관계자도 북한이 과거처럼 금강산 관광 문제와 연계시켜 역제안할 수는 있겠지만 이산가족 상봉 자체에 반대하기는 명분상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는 입장이다. 우리 정부도 좀 더 유연한 자세로 남북 간 실무접촉에 임할 필요가 있다. 지난해 9월 금강산에서 열기로 남북 간에 합의된 이산가족 상봉이 막판에 무산된 것은 금강산 관광 재개를 둘러싼 남북 간 신경전 때문이었다고 전해진다. 남북 모두 이번에야말로 이산가족 상봉을 꼭 성사시켜 남북관계 개선과 긴장완화의 물꼬로 활용하길 기대하는 바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