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진두지휘할 지도부 체제를 어떻게 구성할지 주목된다.  새누리당이 박근혜 정부 중간평가 성격을 띠는 이번 선거에 총력 체제를 구축해나가면서 지도부 개편 방향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가 당 안팎에서 거론되고 있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체제는 지난 2012년 5월15일 전당대회를 통해 탄생했다. 당헌 당규에 따르면 임기 2년이 끝나는 오는 5월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개최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6·4 지방선거가 코앞에 다가와 있는 상황에서 지도부가 교체되는 상황이 비효율적이며, 선거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데 고민이 있다. 아울러 5월말이면 만 2년이 되는 전반기 19대 국회가 마무리되고 후반기 원구성에 나서야 된다. 강창희 국회의장에 뒤이은 후임 국회의장, 상임위원장 등 여당 몫의 국회 `자리`도 정해야 한다.  따라서 새누리당의 지도체제는 현 지도부의 임기를 6월 지방선거때까지 연장하는 방안과 조기전당대회, 비대위 체제 등 3가지 안이 거론될 수 있는데 지도부 개편방향이 어느 쪽이 될지 주목된다 .  ◇현 지도부 임기연장 당의 최고 지도부는 당헌당규에 따라 `국민+당원`들의 선출한 최고위원회가 된다. 지난 2012년 5월 전당대회에서 황우여 대표는 득표율 30.7%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며 그해 12월 대선을 준비할 지도부로 선택됐다. 새누리당 창당 후 첫 대표인 황 대표 이외에 이날 전당대회에서는 이혜훈, 심재철, 정우택, 유기준 후보가 최고위원에 함께 선출됐다. 황우여 신임 대표를 비롯한 이혜훈, 정우택, 유기준 최고위원 모두 친박계로 분류됐고, 비박계에선 심재철 최고위원이 유일하게 선출됐다. 당내 대세론으로 자리잡은 박근혜 대선후보를 위한 체제가 완성된 것으로 해석됐다.  `박근혜 대통령 만들기`에 성공한 새누리당의 현 지도부가 올해 박근혜 정부 집권 2년차를 맞아 `일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을 위해서라도 여당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서는 안된다는 얘기가 나온다.  이런 점에서 6월 지방선거 때까지 현 지도부의 임기를 한시적으로 연장하는 방안이 검토될 수 있다. 그러나 당내 비박계 인사들 중심으로 조기전대론이 나오고 있고, 현 지도부 가운데 지방선거나 당권 도전에 나서는 인사가 나올 경우 형평성 시비가 일 수밖에 없어 `임기 연장론`은 현실성이 떨어져 보인다. ◇조기 전대론 지난 연말 친이계 중진인 이재오 의원이 `인적쇄신 조기전대론`을 거론하면서 당내 논의에 불씨를 던졌다. 지방선거 승리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오는 3월이나 4월에 조기 전당대회를 치러 새로운 지도부로 쇄신한 뒤 선거에 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차기 국회의장 물망에 오르고 있는 황우여 대표, 서울시장 출마를 준비중인 이혜훈 최고위원, 당권 주자로 거론되는 최경환 원내대표 등이 조기 전대와 함께 자연스럽게 거취를 결정하면서 지도부 공백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황 대표 등 당 지도부들은 조기전대론에 부정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조기전대론이 당내 주류인 친박계의 분화나 비박계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조기전대 불가` 입장을 분명히 해 당내 주도권을 놓지 않겠다는 것으로도 보인다.  철도파업 해결사로 나서 주목받고 있는 김무성 의원과 친이계 좌장인 이재오 의원, 중진인 정몽준 의원 등이 최근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 당 지도부와 미묘한 입장차를 드러내고 있다.  지난 10일에는 이재오 정몽준 의원 등 친이계 의원들이 이동관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총장 취임식에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이 자리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도 참석했다.  조기전대론은 현재로선 탄력을 받고 있지 않지만, 정국 상황의 변화에 따라 언제든지 점화될 수 있는 휘발성이 강한 의제다.  ◇비대위 또는 선대위 체제 현재 가장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방안이 `비대위` 또는 `선대위` 체제로의 전환이다. 조기전대론을 피해가면서 지도부 공백사태를 막을 수 있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홍문종 사무총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도부를 교체해 전투에 임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당내에서는 조기 전대보다 선대위 체제로 지방선거를 치르고 그 이후에 전대를 열자는 여론으로 수렴되고 있다"고 말했다.  선대위 체제로 갈 경우 4월이나 5월께 지방선거 선대위를 꾸리면서 자연스레 현 지도부의 거취문제를 해소하고, 7월이나 8월 전당대회를 통해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시나리오가 유력하다.  이런 과정에서 황우여 대표 등 현 지도부가 거취를 표명하면서 `비대위` 체제로 갈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럴 경우 최경환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을 수도 있고, 오는 5월 원내대표를 새롭게 선출할 경우 신임 원내대표가 비대위를 책임질 수도 있다.  `4·5월 비대위·선대위→7·8월 전대론`은 차기 지도부가 6월 지방선거와 7월 재보선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 임기 2년의 차기 지도부가 오는 2016년 4월 차기 총선까지 당을 이끌기 때문에 새누리당내 향후 세력재편을 놓고 벌이는 치열한 `전당대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서청원 전 대표와 김무성 전 원내대표가 당권 도전의사를 내비쳤으며, 최경환 원내대표 등도 당권 도전에 뜻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