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15일부터 7박9일간 인도와 스위스를 방문하기 위해 출국한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13일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박 대통령은 오는 15일부터 22일까지 인도 국빈방문과 스위스 국빈방문에 이어 다보스포럼에 참석하는 것으로 올해 첫 해외순방 외교일정을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프라납 무커지(Pranab Mukherjee) 대통령의 초청에 따른 박 대통령의 인도 국빈방문은 오는 15일 오후 뉴델리에 도착해 재외동포 간담회를 갖는 것으로 공식일정을 시작한다. 16일에는 인도 대통령궁에서 개최되는 공식환영식에 참석한 뒤 만모한 싱(Manmohan Singh)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는다. 정상회담에서는 양국 간 정치·경제·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ICT) 등 제반 분야의 협력방안과 지역 및 국제문제 등에 대한 의견교환이 이뤄진다. 정상회담 직후에는 양국 정상의 임석하에 협정 및 MOU 서명식이 개최되며 박 대통령과 싱 총리가 정상회담 결과를 언론에 공표할 예정이다. 이날 오후에는 모하마드 안사리(Mohammad Ansari) 부통령 및 수쉬마 스와라지(Sushma Swaraj) 하원 야당대표와 박 대통령간의 접견이 이어지며 저녁에는 무커지 대통령 주최 국빈만찬에 공식수행원, 경제인대표 등과 함께 참석할 예정이다. 17일에는 창조경제 협력강화와 세일즈외교 일정이 이어진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IT 시장개척 엑스포 및 ICT 비즈니스 간담회에 참석한 뒤 대한상의와 인도상공회의소가 공동 주관하는 `한·인도 경제협력포럼` 오찬간담회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이어 한·인도 간 문화분야 유대 강화를 위해 인도의 문화 유적지에서 개최되는 한국 전통공예 전시회를 참관할 예정이다. 주 수석은 "인도 정부는 지난해 7월 국가안보보좌관 방한 등을 통해서 우리 대통령의 인도 방문을 적극 희망해 왔다"며 "이는 한·인도 양국 관계를 한 단계 더 도약시키고자 하는 인도 정부의 강한 의지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인도 방문 일정을 마무리한 뒤 18일 오흐 베른으로 이동해 21일까지 스위스를 국빈방문한다.  주 수석은 "스위스는 매년 유럽국가 위주로 1개국 정상만을 국빈 초청해 왔는데 올해 박 대통령을 국빈으로 초청한 것은 양국의 공통 관심사인 창조경제와 혁신교육, 청년창업 등 분야에서 호혜적인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자 하는 스위스 측의 열망과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19일 중립국감독위원회 출신 등 스위스의 친한인사 대표들을 접견하고 한국전통 예술문화를 소개하는 `코리아 판타지` 공연에 참석한 후 동포간담회에서 스위스 체류 동포들과 만난다. 20일 오전에는 디디에 부르크할터 (Didier Burkhalter) 대통령과 함께 한·스위스 경제인 포럼에 참석해 공식 국빈방문 일정을 시작합니다. 이어 공식환영식에 참석한 후 정상회담을 갖는다.  정상회담 직후에는 양국 정상 임석 하에 협정 및 MOU 서명식이 개최되며 이날 저녁 부르크할터 대통령이 주최하는 국빈만찬에 공식수행원, 경제인 대표 등과 함께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21일 오전 베른 상공업직업학교를 방문해 스위스 직업교육제도의 요체를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는 기회를 가진 후 스위스 국빈방문 일정을 마치고 `제44차 세계경제포럼(WEF) 연차총회`, 일명 다보스포럼이 열리는 다보스로 이동한다. 이번 다보스포럼은 `세계의 재편 : 정치, 기업, 사회에 대한 영향`을 주제로 개최되며 기술혁신과 기업가 정신 고취, 포용적 성장 등을 주요 의제로 총 250여개 이상의 세션이 열릴 예정이다. 청와대는 50여명 이상의 정상급 인사가 참석하는 등 역대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21일 오후 우리나라의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주관하는 `한국의 밤 행사`에 참석하며 22일 오전에는 다보스포럼의 첫 번째 전체 세션에서 `창조경제와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하는 개막 연설을 할 예정이다. 다보스포럼 참석을 계기로 세계적 통신장비업체인 시스코(CISCO)와 퀄컴(Qualcomm), 글로벌 인프라·에너지·설비업체인 지멘스(Siemens), 세계 최대 석유기업인 사우디 아람코(Aramco) 등 글로벌 유력 기업 CEO들을 각각 접견하고 이들 기업들의 대한 투자확대도 권유할 예정이라고 주 수석은 전했다. 한편 이번 순방에는 공식일정의 시작부터 끝까지 윤병세 외교부·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철기 외교안보·이정현 홍보·조원동 경제수석, 김형진 외교비서관, 최종현 외교부 의전장 등이 공식수행원으로 동행한다. 또 인도 국빈방문에는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장관과 이준규 주인도대사, 서정인 외교부 남아시아·태평양 국장이, 스위스 국빈방문에는 배영한 주스위스대사와 하태역 외교부 유럽국장이 수행한다. 다보스포럼에는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과 최석영 주제네바대사, 윤창번 미래전략수석, 안총기 경제외교조정관이 수행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