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서울고등법원에 개인회생을 신청한 1145명 가운데 의사, 한의사, 치과의사가 449명으로 전체의 39.2%를 차지했다고 한다. 신청자 5명 중 2명이 의사인 셈이다. 그런데도 2012년 한해 새로 개업한 병·의원은 2263개에 달한다는 자료도 나왔다. 3년 전인 2009년 신규 개업한 병원 1679개보다 584개(34.7%)나 늘었다. 3년 전부터 해마다 의사면허 시험 합격자가 3000명 이상 쏟아져 나온 탓이라고 한다. 앞으로 의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더 커질 수도 있을 것이다. 경쟁은 치열한데 환자 수는 줄고, 경기 침체와 병원 양극화 현상 등으로 시설 수준이 낮은 1,2차 의원들의 적자 폭은 계속 늘어날 것임은 불보듯하다.  정부는 이제부터라도 의대 인재 분산책을 세워야 할 때가 됐다. 의대로 가는 우수 인재를 이공계 인력으로 돌리기 위한 과감한 정책을 펴야 할 것이다. 자원이 없어 기업의 수출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현실로 볼 때 과학고 출신 등 우수 인재가 의대로 몰리는 건 국가적 차원의 손실이 아닐 수 없다고 하겠다. 기업들은 꾸준히 연구개발을 해야만 계속 발전할 수 있다. 기술이야 말로 기업의 성장 엔진이며 국가의 발전 동력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업은 연구 개발을 책임 질 우수한 이공계 인재를 구하지 못해 걱정이 태산이라고 한다. 이대로라면 언제 기업 중심의 국가발전 토대가 무너질지도 모른다. 우수 인재를 이공계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우선 인재들이 왜 이공계를 기피하고 의대로 몰리는지 세밀히 살펴봐야 한다. 학생이나 학부모 대부분은 기술직에 비해 의사라는 직업이 더 안정적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학 영재 교육과 이공계 지원책이 이공계의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이공계 우대 정책과 진로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얘기도 된다. 이공계에 대한 인식을 바꾸기 위한 각계의 꾸준한 노력이 요구되는 대목이기도 하다.  정부는 보다 더 많은 이공계 연구 개발 직종 창출과 인문학과의 융합을 통한 다양한 이공계 교육과정을 만들어야 한다. 이공계에 대한 정치적 관심과 과학기술인의 정계진출 문호를 크게 넓혀 학교에서의 정확한 직업교육 등 이공계 지원을 지금보다 훨씬 강화할 보다 적극적인 필요가 있는 시점에 닿았다고 하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