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22일 신용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태와 관련, 당 내에 신용정보 대량유출 대책특위를 구성하고 대응방안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대책특위 위원장에는 강기정 의원을 선임했다.김한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은 국민의 신용정보 대량유출 사건을 대단히 심각하게 생각한다"며 "오늘 우리 당 차원에서 신용정보 대량유출 대책특위를 구성하고 국회 차원에서도 대책특위를 구성해서 여야가 함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김 대표는 특히 "이번 사태는 그릇된 인식이 빚어낸 참사다. 사생활과 개인정보가 곧 국민인권이라는 인식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정보유출 관련자에 대한 엄중한 문책도 필요하지만 언제 어떻게 유출됐는지조차 모르고 있다가 뒷북치는 금융당국도 분명한 책임을 져야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전병헌 원내대표는 신용카드 개인정보 유출사태에 대해 "20일 하루에만 해지나 정지를 요청한 국민이 100만명에 달한다"며 "(국민들이) 이처럼 화난 이유는 개인 신상과 신용정보가 돈벌이 대상으로 전락해 사고 팔리는 일탈의 현실 때문"이라고 지적했다.전 원내대표는 "이런 현상을 알면서도 방치하고 무분별한 수집을 부추긴 금융기관과 금융당국의 무책임 때문"이라며 "개인정보가 인권이란 인식 아래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2월국회에서 법적 안전장치를 최우선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우원식 최고위원도 "금융사가 돈벌이만 추구하는 사이 (국민의 개인정보는) 금융사냥꾼의 먹이에 불과했다"며 "내부적으로는 보안을 비용으로 인식하고 대충 관리하고. 금융당국은 보험업법을 통해 자회사와 계열사를 통해 마음대로 주고받도록 함으로서 수천만 건의 유출사건이 발생했다"고 비판했다.우 최고위원은 "정부부처는 이런 사태를 방지하고자 한 시민사회의 요구를 무시해왔다. (정부의) 안일함의 대가를 국민이 대신 치르는 꼴"이라며 "미국 모건처럼 징벌적 손해배상을 도입해야만 안일한 태도를 바꿀 수 있다. 철저한 재발방지 대책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신용정보 대량유출 대책특위 위원장인 강기정 의원은 이날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오늘 오후부터 대책특위 구성과 운영 방안을 생각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