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신임 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 시기를 놓고 새누리당 내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최근 새누리당 주류 친박계를 중심으로 6·4 지방선거와 7월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를 치른 후인 8월에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반면 비박계에서는 오는 5월 이전에 새 지도부를 꾸려 공천 등 지방선거 전 과정을 책임있게 관리하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가운데 친이계인 이재오 의원이 22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공개적으로 `당내 민주주의`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조기 전대론`을 내세웠다가 지도부로부터 융단폭격을 맞았다. 이 의원은 "제가 15대 국회 들어와 야당도 10년 했고, 여당도 했는데 당내 민주주의가 화두가 된 일이 없는 유일한 해가 지난 해였다"며 "당의 민주주의가 잘되서 그런건지, 아예 없어서 그런지는 모르지만 최근 염려되는 두 가지 문제를 말하겠다"고 운을 뗐다. 그는 이어 "최근 차기 전당대회를 8월에 한다는 것으로 굳혀져 가고 있다는 보도가 있는데 우려스럽다"며 "당이 안정적으로 가려면 여러 가지 경우를 생각하고 급변하는 정국 대처를 위해 5월 전에 조기 전당대회를 해서 새 지도부를 굳히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선거 환경이 수시로 변하고 3당도 출현하는 등 급박하게 돌아가는데 긴장감을 갖지 않고 기존 체제로 선거를 치르고, 그 다음에 전당대회를 하면 선거운동 기간이 전당대회 준비기간과 겹친다"며 "전대 주자들은 자기 선거운동을 해야하므로 오히려 지방선거에 당이 전념하기 어려운 국면이 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전대 주자들이 자천타천으로 출마 의사를 보이고, 앞으로 레이스를 해야 하는데 보통 고통이 아니다"며 "그동안 전대 주자들이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 20일만 했으면 좋겠다는 얘기를 해왔다. 그런데 전대 출마하겠다는 사람이 8월까지 레이스를 이어가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서병수 의원을 비롯한 친박계 의원들은 8월 전대론을 내세워 조기 전대론의 진화에 나섰다. 서병수 의원은 이 의원을 겨냥해 "황우여 대표 체제하에서 당내 민주화가 아마 꽃을 피우는 시기가 아닌가 생각한다"며 "최고위원회의나 중진회의에 모인 분들이 공개적으로 자기 의견을 말할 수 있는 상황이 과거에 얼마만큼 있었던가 생각해 본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조기 전대를 하느냐, 아니면 연기하느냐는 지방선거와 직접 연결돼 있기에 당내에서 가장 전략적으로 해서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지도부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와 관계돼 있다"며 "최고위나 전략위에서 심사숙고하고 당내 의견을 통합해 정해야 한다. 이를 앞당기고 뒤에 하는 것이 당내 민주화와 어떤 관계가 있느냐"고 따졌다. 원유철 의원도 "대개 각종 선거를 앞두고 전당대회를 할 경우 선거를 치르고 나서 선거 결과가 좋았을 경우나 나빴을 경우 책임론이 따른다"며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대위를 구성해 당 지도부와 함께 보완적인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게 선거를 치르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판단한다"고 말했다. 유기준 최고위원은 "올해 일정이 빡빡하게 많다. 지도부 선출, 원내대표 선출, 지방선거를 치러야 하고, 공직 후보를 공천해야 한다"며 "5월15일까지 임기가 정해져있는 원내대표와 지도부를 이전에 선출하는 경우에는 지방선거에 대한 부담감으로 출전할 선수들이 많지 않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뛰는 말이 있어야 경마를 할 수 있는데 조기 전대를 하더라도 부담감을 갖고 새 지도부를 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정해진 일정대로 5월15일 이전에 하는게 마땅하지만 지방선거와 공천, 선대위를 구성하는 일정을 감안하면 정해진 시기를 넘어 전대하는게 순조로운 일정에 맞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