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국제업무지구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PFV)가 코레일에 용산철도기지창 부지와 드림허브 지분(25%) 매각을 제안했다. 코레일을 대신할 신규 투자자를 유치해 독자적으로 사업을 재개하겠다는 것이다.24일 업계에 따르면 드림허브는 지난 6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용산국제업무지구 조성을 위한 긴급 제안`을 코레일에 제시했다. 드림허브는 코레일을 비롯한 공공지분 46.3% 매입을 조건으로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2개 투자사가 있어 코레일이 합의만 해준다면 사업을 재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투자 희망사는 중국 최대 부동산개발사와 호텔 및 쇼핑몰을 개발하는 국내 상장기업인 것으로 알려졌다.대신 코레일에 철도정비창 토지대금 인하를 요구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구역 지정 해제로 서부이촌동 통합개발이 무산돼 용적률이 낮아지고 기반시설비율이 높아진 현 상황에서 8조원은 너무 비싸 신규 투자에 걸림돌이 되는 만큼 감정평가금액 3조8000억원을 감안해 재조정하자는 것.드림허브는 기존 서부이촌동 통합개발 대신 코레일 철도정비창(12만평)만 단독 개발하고 개발규모도 114만평에서 40% 감소한 69만평으로 줄여 2020년 3월까지 사업을 완공하겠다고 했다. 사업기간은 인허가 재추진 기간 등을 고려해 2년 연장했다드림허브 관계자는 "민간 투자사들이 코레일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진행하는 경우 서울 요지를 빈땅으로 방치하게 돼 국가적 낭비를 초래하는 것은 물론 코레일은 소송기간 중 대상 부지를 돌려받을 수 없게 돼 부채비율이 급증하게 된다"고 지적했다.따라서 "민간투자자들이 신규 투자자를 유치하면 코레일이 토지가격을 적정하게 인해해 매각하고 드림허브에 투자한 원금을 회수한 후 용산 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때는 것이 최선"이라고 주장했다. 코레일이 제안을 받아들이면 토지대금 4조2000억원, 드림허브 투자금 2875억원, 랜드마크빌딩 계약금 4160억원 중 토지대금 미반환금 7781억원을 제외한 4조1254억원을 즉각 회수할 수 있있다고 드림허브는 추산하고 있다.코레일은 드림허브의 자금 동원력에 반신반의하는 눈치다. 향후 소송전에 유리한 여론을 이끌어내기 위한 언론 플레이라는 비판도 있다.코레일 관계자는 "드림허브가 토지대금을 마련할 수 있다면 매각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드림허브가 그만한 자금 동원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없고 신규 투자자 유치 또한 용산사업 무산전부터 말했지만 매번 공염불에 그친 전례가 있다"고 지적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