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우산고로쇠나무 수액`을 인공조림을 통해 내륙에서도 맛볼 수 있게 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윤영균)은 진주 남부산림자원연구소 가좌시험림에 식재된 10년생 우산고로쇠나무에서 본격적인 수액 채취를 시작, 인공조림을 통한 수액 생산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고 지난 1일 밝혔다. 1∼3월에 채취되는 우산고로쇠나무 수액은 당분함량이 일반 고로쇠나무 수액에 비해 2배가량 높을 뿐 아니라 특유의 인삼향을 느낄 수 있어 소비자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는 우산고로쇠나무의 수액 채취량을 늘리기 위해 지난 10년 동안 내륙 인공조림 가능성과 재배·관리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이 우산고로쇠와 주요 수액채취 수종인 고로쇠나무, 붉은고로쇠나무를 대상으로 천연림과 인공림에서의 생장속도를 조사한 결과 우산고로쇠나무가 가장 빠르게 자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공조림을 할 경우 천연림보다 약 2배가량 일찍 수액을 채취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돼 우산고로쇠나무의 내륙 인공조림 성공 가능성·효율성을 보였다. 내륙에 시험 재배된 우산고로쇠나무의 수액 성분은 당도 0.9brix, 칼슘 18.9㎎/100g으로, 이는 울릉도에 식재된 우산고로쇠 수액과 유사한 수준이다. 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윤준혁 박사는 "최근 고로쇠 수액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생산을 위한 인공조림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며 "인공조림을 통한 수액 생산을 위해서는 입지환경, 식재방법, 조림 후 관리 등이 중요하기 때문에 앞으로 수액 생산성 향상을 위한 조성·관리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산림청은 수액채취에 따른 나무 생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가슴높이 지름 10㎝ 미만의 나무에 대한 수액 채취를 금하고 있다. 우산고로쇠나무 1년생을 인공조림 할 경우 약 9년이 경과하면 산림청 수액채취기준인 가슴높이 지름 10㎝에 도달하고 한 그루 당 약 3ℓ의 수액을 채취할 수 있다.뉴시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