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이후 신흥국 경제위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신흥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출을 두고 엇갈린 전망이 나와 혼선을 주고 있다. 3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은 신흥국 유동성위기와 관련한 보고서에서 주요 신흥국 10개국의 수출액을 나열하고 이들 국가에 대한 우리나라의 쏠림 현상을 지적했다. 10개국으로는 중국(수출액 1458억4000만 달러), 우즈베키스탄(19억7000만 달러), 러시아(111억5000만 달러), 베트남(210억9000만 달러), 인도네시아(115억7000만 달러), 멕시코(97억3000만 달러), 브라질(96억9000만 달러), 이집트(15억4000만 달러), 터키(56억6000만 달러) 등을 꼽았다. 보고서는 이들 10개국에 대한 우리나라 수출비중은 41.0%로 이들 국가에서 유동성위기가 발생할 경우 우리 수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불과 일주일 후에 나온 산업통상자원부의 `1월 수출입 동향` 자료는 분석이 달랐다. 산업부는 "미국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경제위기는 우리 수출에 위협요인이지만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등을 고려할 때 그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지목한 주요국도 아르헨티나(2013년 수출액 10억7500만 달러), 터키(56억5800만 달러), 인도네시아(115억7400만 달러), 남아공(26억9700만 달러), 브라질(96억8900만 달러), 인도(113억8500만 달러), 러시아(111억5000만 달러), 말레이시아(85억9000만 달러), 태국(80억7400만 달러), 멕시코(97억2700만 달러) 등으로 비중은 총 14.1%로 나타났다. 이는 수출입은행이 지적한 신흥국에 대한 수출의존도 41.0%와 무려 26.9%포인트 차이가 난다. 두 자료가 이 처럼 차이가 나는 것은 모집군이 틀려서다. 수출입은행은 신흥국에 중국, 우즈베키스탄, 베트남을 넣었고 산업부는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공화국, 말레이시아를 포함시켰다. 양 측이 어떤 기준으로 주요 신흥국을 선정했는지 뚜렷지 않지만 혼선의 배경이 된 셈이다. 특히 정부와 국가가 운영하는 정책금융기관이 다른 목소리를 내는 것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 대기업의 한 관계자는 "정부내에서조차 전망이 엇갈리면 민간 기업의 의사결정에도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