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6·4 지방선거를 120일 앞둔 4일부터 전국 광역시·도 단체장과 교육감 선거에 입후보할 예비후보자 등록이 일제히 시작된다. 여야 각 정당은 예비 후보 등록과 함께 黨을 지방선거 체제로 전환하고, 일제히 선거전에 돌입한다. 사실상 지방선거 운동의 막이 오르게 된 것이라고 하겠다.
예비 후보자가 되면 제한된 범위에서 선거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선거사무소와 간판·현판·현수막을 설치할 수 있고, 선거사무장을 포함한 5인 이내의 선거사무원도 둘 수 있게 된다. 또한 유권자에게 직접 전화를 할 수 있으며 이메일·문자메시지 발송(5회 이내), 어깨띠·표지물 착용 등도 가능해지게 된다.
이번 지방선거는 여야 양당 구도 속에 안철수 의원의 ‘새정치신당’이 급부상하면서 기존의 정치 지형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는데 큰 관심사가 있다고 허겠다. 특히 민주당으; 만년 ‘텃밭’이었던 호남에서 새정치신당이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데다 박근혜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의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서 그 귀추가 주목된다.
하지만 민주당 독주시대였던 1∼5대 지방선거만 하더라도 불·탈법으로 얼룩져 혹독한 후유증을 앓아야 했다. 5대 때의 경우 인구당 선거사범 건수가 전국 최고치를 나타냈고, 단체장과 지방의원 등 당선인 가운데 65명이나 입건됐다.
따라서 민주당과 새정치신당 후보자간에 접전이 예상되는 이번 선거는 그만큼 과열·혼탁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벌써부터 일부 지역에선 탈법이 자행되는 등 ‘진흙탕’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는 사실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겠다.
이럴 때일수록 유권자들은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하겠다. 후보자간의 과열 분위기에 휩싸이지 않으면서 신중한 선택을 해야 함은 당연하다. 정치꾼이 아니라 내가 사는 지역의 참된 일꾼을 뽑는 것이 지방선거의 근본 취지이기 때문이다. 잘못 뽑아놓고 후회는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