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은 5일 조직폭력 및 갈취사범 특별단속을 실시해 총 1534건을 적발하고 2583명을 검거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최근 조직폭력배들이 자금원 확보를 위해 대학으로 진출하거나, 도박사이트를 운영하는 등 그 활동영역도 넓어지고 있다는 것을 감안해 지난해 8월11일부터 11월19일까지 조직폭력 및 갈취사범 특별단속을 실시했다. ▣조폭, 20~30대가 가장 많고…재범비율 99% 검거된 조직폭력배들의 불법 유형은 폭력행사가 62.5%로 가장 많았고, 유흥업소 갈취 5.7%, 서민대상 갈취 3.5%, 사행성 불법영업 2.9%, 변칙적 위장사업 1.3% 순으로 나타났다. 조폭의 재범 비율은 99.2%로 매우 높았으며, 전과 9범이상도 59.3%에 달했다. 조폭의 연령은 20~30대가 1887명(73.5%)으로 저연령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40대는 19.2%, 50대 이상은 5.3%였으며 10대 조폭도 2.8%로 나타났다. 조폭의 직업은 무직이 77.9%로 대부분인 가운대 유흥업 4.2%, 게임장 1.0% 등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경찰이 관리대상의 조직폭력 수는 216개파 5425명이다. 이는 1990년 `범죄와의 전쟁` 당시 전국 폭력조직 294개파 조직원 6019명에 비해 크게 달라지지 않은 수치다. ▣조폭, 어떻게 변화했나 최근 조직폭력은 각종 이권 사업에 개입하는 `기업형 조직폭력`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조폭은 간부급이 운영하는 기업·업소 등에 소규모 단위로 조직원을 분산 배치하고 필요시 긴급 동원하는 체제로 변모했다. 서방파, 양은이파, OB파 등 소위 3대 패밀리의 조직 차원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지만 일부 조직원들이 개별적으로 금융, 부동산, 오락실 사업 등에 진출하고 있다. 이외에도 개별 활동비 마련을 위해 교통사고 위장 보험범죄 등에 개입하는 조폭들의 범죄행위도 등 지능화·음성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조폭들의 `세력다툼`도 양상이 바뀌었다. 대부분 폭력조직들은 이권을 위해 활동을 더욱 다양화, 지능화하고 있으며, 축적된 자금을 바탕으로 인근 군소조직들을 흡수하거나, 필요시 통합·연합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경제적 이권이 있는 곳이면 타 조직원들과도 연합하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조폭들은 타조직원의 경조사에도 회합을 갖는 등 폭력조직간 유대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방 주요 폭력조직의 경우 간부급 연령이 대부분 40대를 넘어 조직 활동은 위축된 상태됐지만 세력 과시를 위한 범죄행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경찰 관계자는 "일부 청소년들이 성인 조직폭력에 대한 막연한 동경심으로 그들의 행태를 모방있다"며 "이를 폭력조직이 악용해 청소년을 조직원으로 가입을 유도하는 등 연계가능성이 우려된다"고 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