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시민단체가 최근 불거진 대구국제학교의 부실운영 문제와 관련, 대구시와 대구시교육청은 즉각적인 감사 등 특단의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대구참여연대는 지난 7일 성명을 통해 "대구시가 외국인 투자유치 등을 목적으로 국비와 시비 등 220억원을 들여 경제자유구역 안에 설립한 외국교육기관인 대구국제학교의 부실운영 문제를 더 두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대구국제학교는 2009년 2월 대구시와 체결한 협약을 위반하고 있다"며 "계약 발효일부터 45일 이내에 학교 개교 및 발전계획 등을 포함한 사업계획서를 대구시에 제출해야 함에도 지금까지 이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당초 약속한 투자금 50억원 중 30억원도 내지 않았고 그나마 투자한 20억원도 상환받고 있다"며 "뿐만 아니라 개교 후 3년간 학년별 수업료를 130만~520만원 올린 뒤 교직원의 임금을 매년 수십 %씩 올렸다"고 강조했다. 또 "7000여 만원에서 3억2000여 만원인 청소와 급식위탁 용역을 멋대로 수의계약 했으며 근거도 없이 미국법인에 컨설팅비 명목 등으로 3억5000여 만원을 주고 내부 규정도 어긴 채 외국인 학생 120명에게 장학금을 줬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결론적으로 학교는 정부 돈으로 짓고 자기 책임은 전혀 이행하지 않은 채 고액의 학생 수업료를 받아 자신들의 입맛대로 돈 잔치를 벌인 것"이라며 "사기에 가까운 행태"라고 비난했다. 이어 "더 큰 문제는 이를 감독, 견제해야 할 대구시와 대구시교육청이 지금까지 이를 방치하고 감싸온 것"이라며 "최소한의 협약을 이행하지 않는 상황을 3년간이나 방치한 것은 직무유기나 다름없다"고 꼬집었다. 이에 따라 "대구시와 대구시교육청은 협약 불이행에 대한 대구국제학교와 외국법인에 책임을 분명히 물어야 한다"며 "즉각적인 감사를 실시해 사태의 진상을 낱낱이 밝히고 행정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