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국회 대정부질문 마지막날인 12일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역사교과서 좌우편향 논란, 국가정보권 대선개입 사건 특검 도입을 놓고 공방을 벌였다. 민주당 유승희 의원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순덕 할머니가 그린 `끌려감`이란 제목의 그림을 들어 보이며 "아베 정권은 이런 역사적 사실에 대해 자발적으로 갔다고 주장하는데 대한민국 출판사인 교학사가 아베 정권의 주장을 대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그러면서 "교학사가 대한민국 교과서냐. 아베 정권의 교과서 아니냐"라며 "이런 교학사를 정부가 지속적으로 비호하는 데 대한민국 정부가 맞느냐"라고 정부와 교학사를 싸잡아 비판했다. 민주당 김용익 의원도 "한국 보수는 친일적 성향을 보이고 있고 교학사도 여실히 보이고 있다"며 "보수와 중도 진보는 우리 사회에 각각 공헌할 일이 있지만 외세를 숭배하는 사대주의적 집단이라면 한국역사에 무슨 가치가 있느냐. 일본 식민지배를 미화하고 친일행적을 덮으려는 시도가 어떻게 한국 보수가 할 일이냐"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반면 새누리당 유승우 의원은 "일부 검인정 교과서의 경우에 대한민국은 UN(유엔)이 인정한 한반도 유일의 합법 정부라는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며 "이러한 잘못된 역사 교육으로 인해서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세력이 정당을 만들어서 국회까지 진출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또 "한국사 교과서 담당부서의 대폭 축소와 인력난으로 인한 교과서의 오류를 (야당이) 정치공세로 이끌어 사회적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에 대한 무죄 판결 이후 퍼지고 있는 야당의 특검 요구를 놓고서도 여야는 날을 세웠다. 유승우 의원은 "야당은 무죄 판결했다는 이유로 특검을 외치고 있다"며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는 일이다. 판결이 마음에 안들면 특검을 외치면서 정쟁으로 몰아넣는 야당의 이런 행동은 민주주의 근간을 흔드는 행동이고 사법부에 대한 부당한 압력"이라고 비판했다. 유승희 의원은 "거대 국가권력이 거룩한 국민의 주권행사인 선거에 개입한 것은 민주주의를 크게 훼손하고 후퇴시키는 일"이라며 "검찰총장의 납득할 수 없는 낙마에 이어 국정원특별수사팀이 공중분해된 일은 우리나라 민주주의 역사에 커다란 오점으로 남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 "특히 김용판 무죄 선고는 상식과는 거리가 먼 충격적 판결이라고 받아들여지고 있다"며 "국정원 대선 개입은 그 의혹만으로도 대한민국의 존립기반을 흔드는 중대한 사안인 점을 감안해 특검을 통해 모든 진실을 명명백백히 밝히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