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이 1조7000억원에 달하는 부실을 털어내기 위해 회계조작을 시도했다는 의혹에 대해 "회계와 관련이 없는 문서를 근거로 한 추측일 뿐 회계처리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이뤄졌다"고 해명했다.대우건설은 금융감독원이 자사의 회계감리를 진행하며 1조7000억원대의 분식회계와 관련된 정황이 포착됐다는 주장에 대해 "회계조작을 시도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대우건설은 이번 의혹이 회계부서와는 무관한 전략관련 부서에서 작성된 문건에서 비롯된 `오해`라는 점을 강조했다. 금감원이 확보한 내부문건은 최악의 경영환경을 가정해 나온 시나리오를 담은 것일 뿐 회계 장부 작성과는 무관하다는 것이다. 이런 시나리오에 담긴 손실규모를 회계 상 추정손실로 연결 짓는 것은 회계논리와도 맞지 않다는 게 대우건설의 입장이다.대우건설 관계자는 "내부 문건에 반영된 손실액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를 기준으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가정한 시나리오"라며 "회계 지식이 없는 사람이 이를 손실발생 예상액인 것처럼 오해한 결과 발생한 해프닝"이라고 말했다.각종 비용 등을 부풀려 손실이 늘어난 것처럼 눈가림하고 여기에 장부 외 손실액을 덮어 손실을 줄여나가는 5개년 계획을 세웠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매년 외부감사인의 적절한 감사를 거쳐 합리적인 원칙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공시해왔다"고 반박했다.내부 문건에서 언급된 5개년 계획은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와 시점을 가정해 경영 시나리오에 대입해 본 것으로 리스크가 발생할 것에 대비해 각 사업본부에 원가 절감 등의 경영목표 부여를 위해 마련했다는 것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회계 처리와는 전혀 무관한 수치"라며 "이를 연도별 부실털기 계획으로 보는 시각은 이해가 되질 않는다"고 말했다.지난해 말 금감원은 대우건설이 국내외 건설현장 40여 곳에서 1조원 가량의 부실을 감췄다는 내부제보를 접수하고 이 회사에 대한 감리에 착수했다. 대우건설은 금감원의 회계감리 결과가 나오는 대로 공시를 통해 알린다는 계획이다.한편 금융감독원은 12일 대우건설이 분식회계를 통해 조성한 자금으로 정·관계 로비를 펼쳤다는 일부 언론 보도와 관련, "관련된 제보를 받은 사실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금감원은 이날 보도해명자료를 내고 "대우건설 분식회계 혐의에 대한 제보를 받아 `회계처리의 적정성 여부에 대해 감리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금감원은 "여타 의혹에 대하여는 내부제보를 받은 사실이 없고, 금감원의 소관업무도 아니다"라고 덧붙였다.앞서 일부 언론은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 "금융당국이 대우건설이 분식회계를 통해 비자금을 조성한 뒤, 이를 활용해 정·관계 인사들에게 로비를 펼쳤다는 내부 제보를 확보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