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맞춤형 소방안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2014년 화재취약계층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해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안전관리대책은 화재취약계층을 위한 방향에 초점을 두고 ▲ 화재취약계층에 대한 기초 소방시설 보급 ▲ 화재없는 안전마을 만들기 추진 ▲ 다문화 가족, 외국인 근로자 등 소방안전서비스 제공 등 3가지 사항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최근 3년간 화재현황을 살펴보면 전체화재 8,811건 중 1,695건(19.2%)이 주택에서 발생, 화재로 인한 사망자도 주택화재에서 20명이 발생해 전체 사망자(50명)의 38.5%를 차지했다. 기초생활수급대상자, 독거노인, 장애인 가구는 화재발생 시 인지능력이 떨어지고 빠른 대피가 곤란해 화재에 열악한 주거환경을 가지고 있다. 화재취약계층에 대한 기초 소방시설 보급으로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저감하고 화재발생 시 초기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지난 2006년부터 총 89,015개의 기초소방시설을 보급했다. 소방본부는 올해 1억 9천여원의 예산을 투입 기초생활수급대상자 8,000가구에 기초 소방시설을 보급할 계획이며, 2018년까지 기초생활수급대상자 65,000여가구에 100%설치를 완료할 방침이다. 특히, 지난해 1월 28일 울진군 원남면 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을 이웃 주민이 발견하고 소화기를 사용, 초기 진화하여 큰 화재를 막을 수 있었다. ‘화재없는 안전마을 만들기’는 기초생활수급자가 다수 거주하거나 소방관서와 원거리에 위치한 마을에 기초 소방시설 보급을 통해 화재 초기 대응력을 제공하고 친서민 사회안전망 확충에 기여하기 위해서다. 지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도내 264개 마을을 화재없는 안전마을로 지정해 13,657가구에 기초 소방시설(소화기 9,468개, 단독경보형감지기 11,118개)을 보급했다. 또한 마을 이장 등 주민대표자를 명예소방관으로 위촉하고 마을에 대한 주택안전점검 및 소방안전교육을 실시, 마을단위의 자율방화체계를 구축한다.     한편, 소방본부는 올해 도내 화재취약마을 68개를 안전마을로 선정해 재난취약계층 맞춤형 안전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작년 12월 기준으로 경북도내 외국인 인구 수는 43,499명으로 2012년(40,067명) 대비 8.57%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의 부주의로 인한 화재 등 안전사고가 증가해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안전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등 외국인 지원센터에 소방홍보 책자를 비치하고 다문화가족 행사 시 소방관서가 적극 참여해  119서비스에 대한 홍보를 실시한다. 또한 다문화 가족,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소방안전교육을 실시해 한국의 소방안전체계에 대한 이해와 접근이 부족한 국내 거주 다문화 가족 및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 소방안전서비스를 제공 다문화 시대를 대비하고 선진 안전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강철수 소방본부장은“화재취약계층이 소외되지 않고 소방안전에 관한 정보를 습득하고 화재 시 대처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안전대책을 적극 추진해 모든 도민이 소방안전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