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4%까지 올리기 위해 지역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활용하기로 하고 올 상반기중 대구 대전을 중심으로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 두곳을 설립하기로 했다. 우수한 청년인재들이 유망 창업기업에 근무해 경험을 쌓도록 하는 제도를 새로 도입할 방침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7일,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2014 미래부 업무추진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미래부는 먼저 지역 전략산업을 발굴해 육성하고 지역인재의 아이디어 사업화를 통한 창업과 중소,중견기업의 성장과 글로벌 진출을 밀착지원하는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 이 지역혁신센터를 통해 지역내에 있는 과기특성화 대학이나 중소기업지원 통합센터 등 관계기관과 지원사업을 연계해 시장진출이나 애로기술 해결 등에 대해 `원스톱 소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미래부는 올 상반기중에 대전과 대구를 중심으로 운영모델을 정립해 우선 2개소 이상을 설립하고 하반기중에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우수한 청년인재들이 창업에 필요한 노하우를 사전에 접할 수 있도록 유망 창업기업에 근무해 경험을 쌓는 제도가 새로 도입된다. 유망 창업기업을 발굴한 뒤 근무자를 선발하고 창업기업과 연결해 1년을 기본으로 근무하고 1년을 연장한 뒤 창업때 최대 1억원까지 창업자금을 지원한다. 우리 기업의 주요 수출전략시장인 동남아와 동유럽권 등에 해외진출 현지거점을 지난해 3개에서 올해 6개 추가 조성함으로써 벤처기업의 부족한 판로개척 등을 지원하게 된다. 기존 산업에 과학기술과 ICT를 융합해 산업의 활력을 제고하는 `창조경제 비타민 프로젝트`는 예산규모가 지난해 200억원에서 올해는 1,000억원으로 5대 확대된다. 사물인터넷 사업을 본격 육성해 지난해 2조 3천억원 수준이었던 시장 규모를 4조 8천억원으로 2배 이상 늘리기로 했다. 출연연이 중소,중견기업 R&D의 전진기지가 되도록 하기 위해 R&D 지원센터를 5월중 설립하고 기업 수요에 맞는 원천기술을 개발,이전하기로 했다. 이론교육 중심의 공과대학을 기업, 현장중심으로 혁신하기 위해 4월까지 공과대학 혁신방안을 마련한다.창조경제의 혈액인 SW의 창업-성장-글로벌화로 이어지는 건강한 성장 생태계 조성을 본격 추진한다.미래부는 2017년까지 소득 4만 달러, 고용률 70%, 잠재성장률 4%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