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19일 국방대 김병렬 교수를 초청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반박과 역사 왜곡의 진실을 알리는 `독도 특강`을 실시했다. 경북대 상주캠퍼스에서 열린 이날 특강에는 300여 명의 도민과 교사,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열렸다. 김병렬 교수(국제법 전공) `독도문제와 한일관계`라는 주제 강연에서 "안용복의 활동을 계기로 양국이 조선의 영토로 인정하면서 일단락된 사항을 1905년 시마네현이 무주지라며 독도를 편입했는데, 이는 불법적이고 원인무효 행위"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 측 주장의 허구성에 대해 역사적 근거에 대해 "한국 측의 역사 기록(삼국사기, 세종실록지리지 등)이 일본보다 빠르며, 안용복의 도일 활동 이후 일본에서 발간된 `삼국접양지도(1785)`나 공문서인 태정관지령(1877)에서도 일본과는 무관한 땅임을 입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제법적 근거에서 입각하더라도 주인이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러일전쟁을 목적으로 강제 편입을 단행했으며, 이를 고시조차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특별강연장 입구에는 `동국대전도`, `삼국접양지도` 등 독도관련 고지도와 자료, 독도 전경 사진을 전시해 도민들이 일본의 허구성과 독도 현황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했다. 강연에 앞서 경북대 음악동아리 `참사랑`회원들이 독도송을 들려주었고, 외교부가 제작한 동영상도 시청했다. 경북도 주낙영 행정부지사는 "아베 정권 출범 이후, 우경화 일로를 걷고 있는 일본은 국제사회를 향해 일본의 주장을 유포하는 등 우리 땅 독도에 대해 치밀한 전략으로 침탈 야욕을 노골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 부지사는 "우리 국민 모두가 독도에 대해 올바르게 알고 일본의 엉터리 주장을 조목조목 논리적으로 반박할 수 있는 이론을 갖추고 이를 행동으로 실천하는 민간 외교관이 돼야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북도는 독도의 생활터전 확충, 접근성 개선, 해양 조사·연구기반을 조성하는 등 전면에서 확실하게 영토 수호를 주도해 나가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