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이 오는 24일부터 공공기관의 방만경영과 과도한 복지비용 등에 대한 감사에 돌입한다. 감사원은 23일 기획재정부와 공기업·금융공공기관 등 30여개 기관을 대상으로 `공공기관 경영관리 및 감독실태` 감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감사는 1단계와 2단계로 나눠 6월까지 진행되며 공공기관감사국을 중심으로 재정경제감사국, 산업금융감사국, 특별조사국 등에서 총 200여명의 인력이 투입된다. 1단계 감사는 24일부터 ▲한국석유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철도공사(코레일) ▲한국가스공사 등 4개 공기업과 ▲예금보험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 2개 금융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2단계 감사는 1단계 감사결과가 마무리되는 4월부터 6월까지 실시할 예정이다. 한국전력공사 등 10여개 공공기관과 산업은행 등 10여개 금융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경영관리 실태를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감사원은 이번 감사에서 기재부 등 주무부처의 공공기관에 대한 관리·감독 체계상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제도개선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다. 특별조사국에서는 주요 공공기관 임직원에 대한 비리점검 등 감찰활동도 병행한다. 또 자체감사기구와의 유기적 협력관계를 구축해 감사결과 이행실태를 완료시점까지 계속해서 추적·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감사원 관계자는 "감사결과가 단기적인 조치에 그치지 않고 공공기관의 개혁을 지속적으로 유도해 나갈 수 있도록 감사종료 즉시 그 결과를 분야별·유형별로 집대성한 `감사백서`를 발간할 것"이라며 "전체 공공기관이 경영에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시해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황찬현 감사원장은 지난 21일 `2014년도 감사관계관 회의`에서 "부실한 경영성과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성과급을 지급하거나 무리하게 외연을 확장하는 공기업 방만 경영과 도덕적 해이의 원인을 파악해 근본적인 개선책과 실효성 있는 제재수단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ephites@newsis.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