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박근혜정부 출범 1년을 하루 앞둔 24일 엇갈린 평을 내놨다.
새누리당은 지난 1년을 대체로 호평했지만 야당은 문제점을 조목조목 비판하며 혹평했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출범 첫 해는 국가 기반을 다지는 해였다. 최근 대통령의 안정적인 국정 지지도에서 보듯이 국정 운영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며 "무엇보다 안보와 경제의 두 축에 큰 기틀을 놓았다"고 자평했다.
유기준 최고위원도 "대체적인 평가는 남북관계와 외교안보 분야는 성과가 있지만 정권 출범 초기에 제기됐던 인사문제와 복지, 경제민주화 등을 내치는 등 아직 노력해야 할 부분"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나라 안팎에서 국가정책을 원칙 있게 추진해 국정을 안정적으로 이끌었다고 평가한다"면서도 "다만 정치가 가장 아쉬웠다. 야당의 가늠하기 어려운 국정 태클로 국민에게 피로감을 준 한해였다. 정치 피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야당의 성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심재철 최고위원은 "국민들은 남북관계와 한일관계 등 외교안보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보여준 원칙주의적 행보에 큰 지지 보내고 있다"면서도 "불통이니 만기친람(萬機親覽·온갖 정사를 임금이 친히 보살핌)형 리더십이니 하는 것은 개선됐으면 한다"고 지적을 내놨다.
반면 야당은 비판공세를 폈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박근혜 대선캠프에서 시대정신을 반영하고 했던 인사들이 출범 후 자취를 감췄다"며 "그 자리에 공안정국 조성세력과 MB노믹스를 계승해 재벌 대기업 위주 경제를 부활시키려는 세력, 그리고 지역 이념 갈등 조장 세력이 들어앉았다. 불통·불신·불안 3불정권의 무능한 국정이었다"고 비판했다.
같은당 장병완 정책위의장도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10대 실정 사례로 ▲국정원 불법대선개입 사건 진실규명 방해 ▲인사파탄 ▲국가기관 공문서위조 ▲생계맞춤형 복지공약 파기·후퇴 ▲재정파탄 ▲전월세 대란 ▲허울뿐인 경제민주화 ▲국민분열 조장 ▲민생안전사고 급증 ▲의료민영화 추진 등을 제시했다.
통합진보당 이정희 대표는 이날 오전 제1차 선거대책위원회에서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무단유출, 내란음모조작과 정당해산심판 청구, 서울시 공무원 간첩조작, 국정원이 주도한 이 일련의 사건들이 박근혜 집권 1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의당 천호선 대표도 당 상무위원회의에서 "야당의 비판과 격려가 무슨 의미가 있을까란 회의가 들지만 앞으로 4년도 지난 1년처럼 국가를 운영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심각한 오산이고 국민의 불행"이라며 "단언컨대 이런 식이라면 박근혜 대통령은 실패한 대통령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원회는 "박근혜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그렇게 강조해 오던 원칙과 신뢰의 입장으로 돌아가 국가 기관 대선 개입 특검을 수용하고 기초 선거 공천 폐지와 경제 민주화 공약을 실천해야 한다"며 "복지와 민생 정책을 구현하는 데 배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