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내 수성의료지구가 의료와 IT, SW 등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중심지로 본격 개발된다.애초 이 지구는 의료와 교육, 문화산업 위주로 개발할 계획이었다.대구도시공사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개발방향과 토지이용계획이 조정된 제5차 개발계획 변경을 26일자로 최종 승인을 받았다.변경된 개발계획의 주요내용은 특화 전문병원과 연계한 체류형의료관광 기능을 도입해 지역의료관광 산업을 활성화 시킨다는 계획이다.또 차세대 SW융합클러스터 조성 등 IT·SW 지식기반서비스 인프라 확충과 함께 물류·유통상업시설 도입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산업유치 촉진 등 지식창조형 사업 경쟁력을 강화했다.대구도시공사는 변경된 개발계획을 반영해 실시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오는 5월부터 물류와 유통상업시설, 공동주택 등 배후시설용지 일부를 우선 공급할 예정이다.7월께 단지조성 공사에 들어가는 등 개발사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013년 재고자산 판매 실적△토지 판매=목표 1405억 / 실적 1699억 (달성률 121%)△달성2차 지원시설용지 등 장기 미분양 토지 완전 매각△동촌그린밸리 매각 완료△주택 판매=목표 810억 / 실적 1,217억 (달성률 150%)△삼덕청아람 분양 완료△죽곡청아람 40평형대 전세주택 분양 (78%) ▣주요사업 추진현황△대구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면적 221만6000㎡/ 사업비 4,144억/ 사업기간 2009년 ~ 2018년△2013년 6월 3개 공구 착공 (2월 현재 공정 8%, 보상 99%)△2014년 상반기 중 이주자택지 공급, 하반기 일반용지 공급△수성의료지구 개발사업△면적 122만5000㎡/ 사업비 6334억/ 사업기간 2008년 ~ 2017년△2014년 2월 개발계획 변경(5차) 승인△2014년 상반기 보상, 7월 착공△달성2차 청아람 2단지 공동주택 건립사업△면적 4만3285㎡/ 895세대/ 사업비 1233억/ 사업기간 2012년~2016년△2013년 11월 주택건설 사업계획 승인△2014년 3월 도급계약 체결△죽곡청아람 5단지 공동주택 건립사업△면적 3만548㎡/ 740세대/ 사업비 1253억/ 사업기간 2013년~2017년△2013년 11월 설계용역 착수△2014년 12월 착공, 2014년 12월 공급 ▣수성의료지구 사업추진 현황△위치=대구시 수성구 대흥, 노변, 삼덕, 시지동 일원△면적=122만5367㎡(370,673/3.3㎡)△사업비=6,334억(자체재원 5495, 국·시비 839)△사업기간 2008년 ∼2017년△개발방향 : 의료·IT·SW등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추진경위△2008년 5월6일 경제자유구역지정(지식경제부)△2010년 5월12일 개발계획변경 승인 및 고시(공원화용지 ⇒개발용지 26만7000㎡)△2010년 11월10일 개발계획변경(2차) 승인 및 고시(국방부 토지제척 26만㎡)△2011년 4월6일 개발계획변경(3차) 승인 및 고시(3개단지 → 1개단지 구조 조정(이천, 고모 제외 55만㎡)△2012. 02. 20 : 개발계획변경(4차) 승인 및 실시계획 승인(개발방향=의료·교육 → 의료·교육·문화등 IT기반지식산업)△2013년 1월6일 보상협의 착수△2014년 2월26일 개발계획변경(5차) 승인 고시(산업통상부)△개발방향=의료·IT·SW등 지식기반서비스산업△보상추진실적 2월20일 현재 필지수 대비  60%협의 진행 (807필지 / 484필지 협의) ▣개발계획 변경사유△체류형의료관광단지 기능을 부여 지역의료산업을 특화하고, 수요가부족한 교육시설을 제외△지식기반산업시설에 문화산업시설의 SW융합산업클러스터를 흡수 산업유치의 유연성 부여와 ITㆍSW 지식기반서비스산업 강화△물류ㆍ유통상업시설을 도입, 지구개발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한편, 주거시설 위치등 불합리한 토지이용계획을 조정 ▣개발계획 변경 승인 내용△의료, 문화, 교육, 지식산업연구시설용지 ⇒ 의료 및 지식산업으로 통합- 의료시설 현행유지(8만2810㎡)/문화 및 교육시설 → 지식산업에 흡수 통합(11만6958㎡) △주택건설용지 위치 조정 및 주택건설규모 축소- 면적 (당초)12만3897㎡ → (변경)11만2107㎡(감1만1790㎡) / 세대수 2220호 →1756호(감464호)△물류용지 추가 도입 및 초등학교용지 폐지(인근학교 분산수용)- 물류용지 (1만7625㎡) 도입 / 초등학교 폐지 (감 1만6232㎡)△복합시설용지 ⇒ 유통상업시설로 변경- 복합시설 용지 (감3만6386㎡) / 유통상업용지 (증 7만7,049㎡)△수요자중심의 실현가능한 개발방향 조정 및 지역특화 전략의 필요성과사업지원 기능 강화- 의료·교육·문화등의 IT기반지식서비스 산업 → 의료·IT·SW등의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의료시설은 투자유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의료시설 부지를 대형필지로조정 및 체류형 의료관광기능 부여 등 도입기능 일부 변경△교육시설은 수요가 부족한 의료·IT 관련 교육기관은 유치대상에서 제외하고, 의료시설내 교육서비스기능 추가도입△문화산업시설은 지식기반서비스산업에 흡수 산업유치의 유연성 부여 ▣분양 공급계획△1단계 2014년 5월공급대상=유통상업(물류용지포함)용지 및 공동주택지 선수공급산업용지=SW융합기술센터 및 ICT창조밴처선터 선수공급△2단계 2014년 11월공급대상=단독택지, 상업용지, 근린생활용지, 공공용지 등△3단계 산업용지공급대상=의료시설용지, 지식산업용지▣향후계획2014년 4월 실시계획 변경승인과 조달청에 의뢰 단지조성공사를 발주한다.7월에는 공사착공한다.2017년 6월 공사 준공에 이어 같은해 12월 사업 준공을 마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