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에서 새정치연합에 이어 민주당도 `기초선거 무(無)공천`을 선언했다 때문에 기초단체장 및 기초의회 의원을 뽑는 선거에서 `기호 2번`이 사라진 투표용지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기존 선거의 투표용지는 `국회 의석 수 등을 기준으로 정당에 통일된 기호를 부여한다`는 내용의 공직선거법에 따라 기호 1번은 새누리당, 기호 2번은 민주당, 기호 3번은 통합진보당, 기호 4번은 정의당 후보의 이름이 명시돼 왔다.기호 5번부터는 의석이 없는 정당에 부여하고, 그 뒤로는 무소속 출마 후보들에게 추첨에 따라서 기호를 차례로 배정해왔다.하지만 이번 선거에서 기초선거 공천을 하기로 한 새누리당과 통합진보당, 정의당과 달리 민주당은 공천 폐지를 선언해 전국적으로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 후보자 투표용지에서 `기호 2번 민주당`을 표시한 둘째 줄이 아예 사라진다.투표용지의 세로로 `기호 1번 새누리당 000 후보, 기호 3번 통합진보당 000 후보, 기호 4번 정의당 000 후보` 순으로 표기된 뒤 기호 5번 이후로는 5석 이하의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들의 이름이 나열되게 되는 것이다.당연히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려던 후보들은 이번 기초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기 때문에, 선관위의 추첨에 응해서 기호 5번 이하의 번호를 부여받아야 한다.계획대로 민주당과 안 의원 측 새정치연합이 3월까지 신당 창당을 마치더라도 양측 모두 기초선거 무공천을 선언, 신당 후보를 표방하며 출마하더라도 기호 5번 이하로 나열되는 무소속 후보 중 한 명으로 이름을 올려야 한다.이럴 경우 `기호 1번은 새누리당, 기호 2번은 민주당`에 익숙한 유권자들이 투표장에서 투표를 하는 데 혼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기초선거 무공천`으로 야당 성향의 후보자가 난립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다수의 무소속 후보 중 신당이 내세운 후보임을 나타낼 방법이 없어 당락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