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올해 52억원을 투입, 주요 어장 13곳에서 1600여톤의 폐기물을 수거할 계획이다.
또 침적폐기물 오염실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해역별 침적폐기물 관리방안도 마련한다.
해수부는 3월부터 수산자원 감소를 막고 어장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전국 주요어장에 가라앉은 폐기물을 수거해 처리하는 연안어장 환경개선사업을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그동안 다수의 지자체가 연접해 이용하는 바다는 경계가 불분명해 단위 지자체 중심의 환경개선 사업을 추진하기가 어려웠다.
게다가 제때 바다 환경을 개선하지 못해 어장이 오염되면 수산자원 회복에 막대한 예산과 시간이 들기 때문에 종합적이고 전국적인 정부 중심의 사업을 벌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아울러 지난 2012년부터 5개년 계획으로 실시하고 있는 모니터링 사업은 2012~2013년 남해권역에 이어 올해 동해권역을 대상으로 추진된다. 해수부는 이를 통해 연안 주요어장의 침적폐기물 오염실태를 파악할 수 있어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연차별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광석 수산자원정책과장은 "이번 워크숍은 수산자원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책방향을 모색하고 침적폐기물 수거사업에 대한 관심을 높일 계기가 될 것"이라며 "현장에서 나온 의견을 연안어장 환경개선사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연안어장 환경개선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안어장 환경개선 관리정책 워크숍`이 오는 11일부터 이틀 동안 대전에서 열린다. 이 행사에는 지자체와 해양경찰청, 한국어촌어항협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 기관·단체의 업무담당자 60여명이 참석한다.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