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소치동계올림픽 기간 동안 `파벌 논란`의 중심에 섰던 `쇼트트랙 대부` 전명규(52) 대한빙상경기연맹 부회장이 결국 자진 사퇴했다.빙상연맹은 17일 낮 서울 모처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명규 전 부회장이 자진 사퇴했다고 발표했다.빙상연맹은 "올림픽 지원단장인 전명규 전 부회장이 소치올림픽 성적 부진에 책임을 지고 스스로 사퇴했다"고 설명했다.2010년 밴쿠버동계올림픽 이후 터진 `짬짜미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빙상연맹 부회장에서 물러났던 전 전 부회장은 2년 뒤인 2012년 복귀했으나 2년 만에 또 다시 부회장에서 물러나게 됐다.전 전 부회장은 소치올림픽 기간 동안 논란의 중심에 섰다.소치올림픽에서 한국 남자 쇼트트랙대표팀은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대회 이후 12년 만에 `노메달` 수모를 당했다.반면 러시아로 귀화한 `쇼트트랙 황제` 빅토르 안(29·한국명 안현수)은 500m·1000m·5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땄고, 1500m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빅토르 안이 선전하고 한국 남자대표팀이 부진하면서 시선은 빅토르 안이 귀화한 이유로 쏠렸다. 빅토르 안의 아버지인 안기원씨가 귀화한 배경에 `파벌`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빙상연맹 파벌의 중심으로 알려진 전 전 부회장에게 비난의 화살이 돌아갔다.동시에 빙상연맹에 부패가 만연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랐다. 전 전 부회장은 쇼트트랙이 동계올림픽 시범종목으로 치러진 1988년 캘거리동계올림픽부터 15년 동안 대표팀을 이끌며 한국을 쇼트트랙 강국의 지위에 올려놓은 `대부`라는 평가를 받는다.동시에 파벌을 조장한 인물로도 꼽히는 것이 사실이다. 전 전 부회장이 빙상연맹에서 막대한 권력을 행사하면서 파벌을 조장했다는 것이 빙상계 인사들의 말이다.결국 논란의 중심에 섰던 전 전 부회장은 `올림픽 성적 부진`을 이유로 빙상연맹에서 물러나고 말았다.동시에 빙상연맹 전 임원은 연맹 혁신을 위해 출범시킨 `평창대비 빙상발전위원회`에 거취 관련 모든 사항을 일임하기로 했다.빙상연맹의 이기인 부회장은 "발전위원회에 부회장이 일부 포함돼있는 만큼 소위원회 같은 것을 구성해 부회장단과 이사의 거취를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