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성 / 국제부 기자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 총리가 14일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을 인정한 고노(河野) 담화를 포함해 앞선 정부들의 역사 인식을 계승하며, 이미 발표된 담화의 내용을 수정할 의도가 없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가 공식 석상에서 고노 담화 수정 의지를 공개적으로 부인한 것은 총리 취임 후 처음으로 국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하지만 위안부 문제는 정치적 문제가 아니라 본질적으로 여성 인권과 역사의 문제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아이나 여성에 대한 (개인적)성폭력 범죄도 질타받는데 군사력으로 위협하며 조직적으로 행해진 집단 성적 유린 문제는 심각한 반인륜 범죄다. 전 국가지도자의 사죄 발언을 수정·재검증하려는 시도 자체가 비열하고 비인간적이다.아베 총리의 발언에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다행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아베 총리의 과거사 문제에 관한 발언을 긍정 평가한 것은 처음이다.일본 언론들이 24~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 때 한·미·일 정상회담 또는 한·일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는 17일 일본이 진정성 있는 모습을 보여 건설적 대화가 가능하다면 대화하지 않을 이유가 없지만 현재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일본유신회 소속 나카야마 나리아키 중의원이 "한국과 일본 여성은 인종이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며 피해자 가슴에 대못을 박는 망언을 퍼붓고 역사 부인, 군사력 확충 심지어 야스쿠니 신사 참배도 서슴지 않는 등 군국주의 망령에 사로잡혀 우경화로 치닫는 아베 내각의 행보는 도를 넘어섰다.이에 비춰봤을 때 다음달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일본 방문 후 일본이 또다시 말을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보장할 수 없다. 오히려 바꿀 가능성이 더 크다. 한국도 일본에 진정성을 기대하기보다는 오바마 미 대통령의 순방을 계기로 일본에 다각적 압력을 행사해 `실리`를 추구하는 게 나을 것으로 생각된다.미국은 "위안부 문제는 중대한 인권 침해로 일본 지도자들이 피해자의 고통을 줄이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혀왔다. 오바마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통해 일본이 앞으로 다시는 번복할 수 없는 약속을 받아낼 수 있도록 한국이 할 수 있는 역할을 찾아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해외 위안소 유적지에 위안부 박물관 설립을 추진하는 등 국제적 협력을 시도할 수도 있다. 중국도 최근 한국 정부와의 협력 의사를 보여주고 있고 윤병세 외교장관의 유엔 인권위 연설로 국제사회의 공감대도 확산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