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CEO 10명중 9명 이상이 우리나라의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했다.25일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에 따르면 최근 중소기업 CEO 300명을 대상으로 ‘저성장 지속에 따른 중소기업 대응전략’을 설문한 결과, 중소기업인은 우리경제의 저성장이 ‘심각하다’(90.3%)로 느끼고 있으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되어 온 저성장 경제하에서 기업성장도 ‘쇠퇴’가 34.7%, ‘정체’가 38.0%인 반면 ‘성장’은 27.3%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성장의 원인(복수응답)으로는 ‘내수침체’(65.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동종업계 과당경쟁’(41.8%), ‘원부자재 가격상승’(40.4%), ‘낮은 납품단가 등 대·중소기업간 불공정거래’(36.6%)순으로 조사됐다.특히 대부분의 중소기업인(92.7%)은 우리 경제의 저성장이 적어도 2년 이상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응답업체의 36.3%는 저성장 지속에 따른 대응전략이 있는 반면, 절반정도(51.0%)가 대응전략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기업의 대응전략으로는 ‘비용 절감 체제 구축’(36.7%), ‘혁신적 신기술·신제품 개발’(33.9%) 등으로 조사됐다.반면, 대응 전략이 없는 기업의 경우 그 이유로는 ‘자구 노력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기 때문’(66.6%), ‘어떻게 대응해야할지 모르기 때문’(21.5%)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저성장이 지속될 경우 감내 가능 기간’으로 2~3년 50.3%, 4~5년 20.9%인 것으로 조사됐다.박해철 중소기업중앙회 정책개발1본부장은 “중소기업이 저성장의 가장 큰 원인을 내수침체에서 찾고 있는 만큼 정부의 규제개혁과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차질 없는 추진을 통해 내수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며 “중소기업 스스로도 신기술·신제품 개발 등을 통해 저성장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뉴시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