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의약전문가, 일반인, 지역의약품안전센터 등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보고한 의약품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가 18만2951건으로 전년대비 98.8% 늘었다고 20일 밝혔다. 2010년 6만4143건, 2011년 7만4657건, 2012년 9만2375건에 이어 지속적인 증가세다.식약처는 업체·단체별로 안전관리책임자를 도입, 부작용을 정기적으로 보고토록 의무화하고 안전성 정보를 담당하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을 설립하는 등 제도의 변화로 부작용 보고가 활성화됐다고 분석했다.보고 주체별로 살펴보면 전국 22개의 지역의약품안전센터가 9만139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제약회사 8만1213건(44.4%), 의료기관 7967건(4.4%), 약국 2113건(1.2%), 소비자 719건(0.4%) 등의 순이었다.효능군별로는 항악성종양제가 2만3477(12.8%)건으로 가장 많은 부작용이 신고됐다. 해열진통소염제(1만6620건), X선 조영제(1만3963건), 항생제(1만1451건) 등에서도 부작용이 많이 발생했다.증상별 보고 사례는 오심(헛구역질)·구토(4만1566건), 가려움증(1만5078건), 두드러기(1만2962건) 순으로 많았다.식약처는 지난해 수집한 의약품 안전성 정보를 바탕으로 46개 성분에 대한 검토를 통해 `메토클로프라미드` 등 11개 성분(540개 제품)의 허가사항 변경 지시 등의 안전조치를 취했다.올해 12월에는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시행에 따라 의약품과 부작용 간 인과관계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위해서는 의약품 사용 중 발생한 안전성 정보 보고가 매우 중요하다"며 "의사·약사 등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도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1644-6223) 및 전국 지역의약품안전센터에 보고해달라"고 당부했다.